1만 명당 1.59명 사망, 평균의 두 배·영국의 6.6배
보고서 “현장 맞춤형 안전관리·전국민 안전문화 병행 필요”
건설현장에서 일하다 숨지는 근로자 비율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 10개 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평균보다 두 배, 영국과는 여섯 배 넘게 차이 나는 수치입니다.
산업 사망률도 상위권에 올라, 산업 구조와 안전 문화 전반에 대한 전면 점검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입니다.
■ 평균 두 배, 영국의 6배↑
1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은 1만 명당 1.59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지표로 볼 때 캐나다는 1.08, 프랑스 0.97, 미국 0.96, 이탈리아 0.92, 스페인 0.72, 일본 0.68, 호주 0.34, 독일 0.29, 영국 0.24를 기록했습니다.
10개 국 평균이 0.78인데, 한국은 이보다 두 배를 넘었고, 영국과 비교하면 무려 6.6배 높았습니다.
■ 전체 산업도 ‘높음’
건설업을 포함한 전체 산업 사망률도 만만치 않습니다.
한국은 0.39로 캐나다(0.50)에 이어 두 번째였습니다. 미국(0.37), 프랑스(0.35)보다 높았고, 독일(0.07)이나 영국(0.04)과는 각각 5.6배, 9.8배 차이가 났습니다.
10개 국 평균이 0.24인 점을 감안하면, 전 산업에서 한국의 수치는 1.6배 수준으로 상위권을 기록했습니다.
■ 위험이 구조로 굳어진 산업
보고서는 국내 건설업의 위험성이 ‘산업 구조 자체’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했습니다.
한여름 폭염과 겨울 한파 속 옥외작업이 많고, 숙련공 고령화로 반응 속도와 체력이 떨어집니다.
여기에 더해 다단계 하도급 구조가 겹치면서 안전 관리 책임이 흐려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고 진단했습니다.
■ “맞춤형 관리 + 안전문화 혁신” 시급
이에 따라 산업 차원에서는 건설업 특성에 맞춘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국가 차원에서는 가정·학교까지 아우르는 ‘전 생애 안전문화’를 확립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보고서는 “생활 속에서 안전이 최우선 가치로 자리잡아야 통계가 바뀐다”며 “제도 개선과 현장 실행력을 함께 끌어올리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고서 “현장 맞춤형 안전관리·전국민 안전문화 병행 필요”

건설현장에서 일하다 숨지는 근로자 비율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 10개 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평균보다 두 배, 영국과는 여섯 배 넘게 차이 나는 수치입니다.
산업 사망률도 상위권에 올라, 산업 구조와 안전 문화 전반에 대한 전면 점검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입니다.
■ 평균 두 배, 영국의 6배↑
1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은 1만 명당 1.59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지표로 볼 때 캐나다는 1.08, 프랑스 0.97, 미국 0.96, 이탈리아 0.92, 스페인 0.72, 일본 0.68, 호주 0.34, 독일 0.29, 영국 0.24를 기록했습니다.
10개 국 평균이 0.78인데, 한국은 이보다 두 배를 넘었고, 영국과 비교하면 무려 6.6배 높았습니다.
■ 전체 산업도 ‘높음’
건설업을 포함한 전체 산업 사망률도 만만치 않습니다.
한국은 0.39로 캐나다(0.50)에 이어 두 번째였습니다. 미국(0.37), 프랑스(0.35)보다 높았고, 독일(0.07)이나 영국(0.04)과는 각각 5.6배, 9.8배 차이가 났습니다.
10개 국 평균이 0.24인 점을 감안하면, 전 산업에서 한국의 수치는 1.6배 수준으로 상위권을 기록했습니다.

■ 위험이 구조로 굳어진 산업
보고서는 국내 건설업의 위험성이 ‘산업 구조 자체’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했습니다.
한여름 폭염과 겨울 한파 속 옥외작업이 많고, 숙련공 고령화로 반응 속도와 체력이 떨어집니다.
여기에 더해 다단계 하도급 구조가 겹치면서 안전 관리 책임이 흐려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고 진단했습니다.
■ “맞춤형 관리 + 안전문화 혁신” 시급
이에 따라 산업 차원에서는 건설업 특성에 맞춘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국가 차원에서는 가정·학교까지 아우르는 ‘전 생애 안전문화’를 확립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보고서는 “생활 속에서 안전이 최우선 가치로 자리잡아야 통계가 바뀐다”며 “제도 개선과 현장 실행력을 함께 끌어올리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