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시설, 소비량 증가 0.6% ↔ 두 건물만 전체 증가분 90% 차지
“폭염에도 절감 노력은 없었다”.. 에너지 불감증, 도민 부담만
대형 숙박시설의 에너지 사용량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공공부문이 효율화를 통해 소비를 억제한 것과 달리, 민간 대형 건물들이 오히려 전력 사용을 크게 늘리면서 도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 공공부문은 억제, 민간은 폭증
18일 제주도내 시민단체들과 정당으로 구성된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은 논평을 내고 지역내 에너지 다소비 건물들의 지난해 소비량이 전년보다 늘었다면서, 정책 차원의 관리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2024년 기준(제주도) 도내 에너지 다소비 건물은 14곳으로 제주국제공항, 제주대학교, 제주대병원 등 공공시설 3곳의 에너지 사용량은 전년 대비 101 TOE(석유환산톤)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이들 전체 시설의 증가율 0.63%는 전체 전력 공급량 증가율(1.6%)은 물론, 여름철 최대 전력 수요 증가율(7.5%)보다도 낮았습니다.
단체는 이를 두고 “공공부문이 효율화에 노력한 결과”로 해석했습니다.
■ 신화월드·드림타워, 전체 증가분 90% 차지
대규모 숙박·관광시설의 사용량은 5만 6,290 TOE에서 5만 8,150 TOE로 3.3%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제주신화월드와 드림타워 두 건물만으로 1,681 TOE가 추가돼 전체 증가분의 90%를 차지했습니다.
신화월드는 전년보다 1,181 TOE 늘어난 1만 6,678 TOE로 집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드림타워도 500 TOE가 증가했습니다.
‘TOE’는 에너지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원유 1톤(t)의 발열량(1,000만 Kcal)을 1 TOE로 환산 적용합니다.
■ 경기 침체에도 멈추지 않은 소비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 측은 “폭염 영향이 일부 있었다고 해도 이 정도 증가 폭은 기업의 절감 노력이 부재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전력 수요를 줄이는 등) 효율화 조치 노력도 없이 기업 이익 창출로 인한 기후위기 부담만 도민들이 떠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경기 침체와 관광객 감소에도 (에너지) 소비는 줄지 않고 있다”면서, “고효율 설비 교체나 심야 조명 절전만으로도 절감이 가능한데, 이런 노력조차도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 자율 개선 방식, 한계 뚜렷
제주도는 ‘제주형 건물에너지 효율관리 목표제’ 도입을 예고했지만, 인센티브 중심의 자율 개선 방식입니다.
단체는 “기업의 선의에만 기대는 방식으로는 감축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며 “제주도가 관리·감독 권한을 적극 행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기후위기 부담, 도민 몫으로
기상청 전망에 따르면 올 가을에도 기온은 예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력 수요가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단체는 “소비만 늘어서는 화력발전 감축도, 2035년 탄소중립 달성도 요원하다”며 “도민들이 감당하는 기후위기 부담을 줄이려면 기업과 행정이 실질적인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구체적 방법으로 “기후소비자의 선택권과 도민의 알 권리를 위해 에너지 다소비 건물 현황자료를 매년 제주도청 홈페이지와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또 정책 차원의 관리·감독 권한을 적극 행사해 에너지 다소비 건물의 실질적인 사용량 감축을 이끌어낼 것을 촉구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폭염에도 절감 노력은 없었다”.. 에너지 불감증, 도민 부담만

대형 숙박시설의 에너지 사용량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공공부문이 효율화를 통해 소비를 억제한 것과 달리, 민간 대형 건물들이 오히려 전력 사용을 크게 늘리면서 도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 공공부문은 억제, 민간은 폭증
18일 제주도내 시민단체들과 정당으로 구성된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은 논평을 내고 지역내 에너지 다소비 건물들의 지난해 소비량이 전년보다 늘었다면서, 정책 차원의 관리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이들 단체에 따르면 2024년 기준(제주도) 도내 에너지 다소비 건물은 14곳으로 제주국제공항, 제주대학교, 제주대병원 등 공공시설 3곳의 에너지 사용량은 전년 대비 101 TOE(석유환산톤)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이들 전체 시설의 증가율 0.63%는 전체 전력 공급량 증가율(1.6%)은 물론, 여름철 최대 전력 수요 증가율(7.5%)보다도 낮았습니다.
단체는 이를 두고 “공공부문이 효율화에 노력한 결과”로 해석했습니다.
■ 신화월드·드림타워, 전체 증가분 90% 차지
대규모 숙박·관광시설의 사용량은 5만 6,290 TOE에서 5만 8,150 TOE로 3.3%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제주신화월드와 드림타워 두 건물만으로 1,681 TOE가 추가돼 전체 증가분의 90%를 차지했습니다.
신화월드는 전년보다 1,181 TOE 늘어난 1만 6,678 TOE로 집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드림타워도 500 TOE가 증가했습니다.
‘TOE’는 에너지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원유 1톤(t)의 발열량(1,000만 Kcal)을 1 TOE로 환산 적용합니다.
■ 경기 침체에도 멈추지 않은 소비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 측은 “폭염 영향이 일부 있었다고 해도 이 정도 증가 폭은 기업의 절감 노력이 부재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전력 수요를 줄이는 등) 효율화 조치 노력도 없이 기업 이익 창출로 인한 기후위기 부담만 도민들이 떠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경기 침체와 관광객 감소에도 (에너지) 소비는 줄지 않고 있다”면서, “고효율 설비 교체나 심야 조명 절전만으로도 절감이 가능한데, 이런 노력조차도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 자율 개선 방식, 한계 뚜렷
제주도는 ‘제주형 건물에너지 효율관리 목표제’ 도입을 예고했지만, 인센티브 중심의 자율 개선 방식입니다.
단체는 “기업의 선의에만 기대는 방식으로는 감축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며 “제주도가 관리·감독 권한을 적극 행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기후위기 부담, 도민 몫으로
기상청 전망에 따르면 올 가을에도 기온은 예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력 수요가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단체는 “소비만 늘어서는 화력발전 감축도, 2035년 탄소중립 달성도 요원하다”며 “도민들이 감당하는 기후위기 부담을 줄이려면 기업과 행정이 실질적인 조치를 내놓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구체적 방법으로 “기후소비자의 선택권과 도민의 알 권리를 위해 에너지 다소비 건물 현황자료를 매년 제주도청 홈페이지와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또 정책 차원의 관리·감독 권한을 적극 행사해 에너지 다소비 건물의 실질적인 사용량 감축을 이끌어낼 것을 촉구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