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에만 집착하면 미래 못 봐.. 근시안적 접근"
"행복을 받아들일 준비와 설계를 함께 해나가야"
최근 SK하이닉스 노사가 성과급 규모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성과급이 5,000%까지 늘어나도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재계 등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은 어제(20일) 서울 중구 SK서린사옥에서 열린 이천포럼 '슬기로운 SK생활'에서 '지속가능한 행복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고 성과급에 대해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성과급과 같은) 보상에만 집착하면 미래를 제대로 볼 수 없다. 이는 근시안적인 접근"이라며 "1,700%의 성과급에도 만족하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3,000·5,000%까지 늘어나도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어 "하이닉스가 반도체 1등 기업으로 올라섰고 과거 2등의 한을 어느 정도 풀었다고 볼 수는 있지만 여전히 불안과 불행이 존재한다"라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행복을 받아들일 준비와 설계를 함께 해나가야 한다"며 "행복은 누군가가 만드는 것이 아닌, 나와 우리가 함께 만들어야 더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AI 반도체 호황 속에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 중이지만 올해 임금협상에서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사측은 성과급 지급률을 기존 1,000%에서 1,700%로 올리겠다는 안을 내놨지만 노조는 2021년 사측이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하겠다고 한 만큼, 해당 금액을 전부 성과급으로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측은 영업이익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삼되 지급 한도인 기본급 1,000%를 초과하는 부분은 협의 대상이라고 맞섰고, 노조는 재차 반발해 지난 6일 청주캠퍼스에서 창사 이래 첫 조합원 총력 투쟁 1차 결의대회를, 12일 이천캠퍼스에서 2차 결의대회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행복을 받아들일 준비와 설계를 함께 해나가야"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근 SK하이닉스 노사가 성과급 규모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성과급이 5,000%까지 늘어나도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재계 등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은 어제(20일) 서울 중구 SK서린사옥에서 열린 이천포럼 '슬기로운 SK생활'에서 '지속가능한 행복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고 성과급에 대해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성과급과 같은) 보상에만 집착하면 미래를 제대로 볼 수 없다. 이는 근시안적인 접근"이라며 "1,700%의 성과급에도 만족하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3,000·5,000%까지 늘어나도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어 "하이닉스가 반도체 1등 기업으로 올라섰고 과거 2등의 한을 어느 정도 풀었다고 볼 수는 있지만 여전히 불안과 불행이 존재한다"라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행복을 받아들일 준비와 설계를 함께 해나가야 한다"며 "행복은 누군가가 만드는 것이 아닌, 나와 우리가 함께 만들어야 더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AI 반도체 호황 속에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 중이지만 올해 임금협상에서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사측은 성과급 지급률을 기존 1,000%에서 1,700%로 올리겠다는 안을 내놨지만 노조는 2021년 사측이 영업이익의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하겠다고 한 만큼, 해당 금액을 전부 성과급으로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측은 영업이익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삼되 지급 한도인 기본급 1,000%를 초과하는 부분은 협의 대상이라고 맞섰고, 노조는 재차 반발해 지난 6일 청주캠퍼스에서 창사 이래 첫 조합원 총력 투쟁 1차 결의대회를, 12일 이천캠퍼스에서 2차 결의대회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6곳에서 부르니 ‘정쟁’? 그래서 침묵 택한 대통령실”… 김현지 불출석, 권력의 투명성 앞에 섰다
- ∙︎ 전통과 미래가 어우러지다...제주 축제 한마당 '탐라문화제' 개막
- ∙︎ "냉장고 옵션이라면서요"...대학가 원룸촌 '허위 의심 광고' 수두룩
- ∙︎ 일제가 빼앗은 제주흑우 82년 만에 되찾은 과학자의 퇴장..박세필 교수 퇴임 앞둬
- ∙︎ “불난 데 기름 붓고, 책임은 남 탓”… 국민의힘, 4·3 앞에서 윤리 잃다
- ∙︎ 특수교육 대상 학생 늘어...제주 영지학교 분교 추진
- ∙︎ 길어진 연휴에 제주 방문객 34만명...전년비 11% '껑충'
- ∙ “아이 용변 그대로 바닥에, 닦은 물티슈는 바다로”… 무차별 작태, 천연기념물 ‘용머리해안’도 예외 없었다
- ∙ 신발장 속 뱀에 '콱'·음주 다이빙하다 '쾅'...제주 펜션서 사고 잇따라
- ∙ "1인분만 시켜도 OK"…배민 '한 그릇' 5개월 만에 1000만건, 점주들 "남는 게 없다"
- ∙ 올해만 216만 마리...제주 마을어장에 전복·오분자기 뿌린다
- ∙ 4.3유족 피 끓는 요청 '외면'...국힘 장동혁, '건국전쟁2' 관람 강행
- ∙ 425세대 아파트 통째 매각하려다 1천억 떨어지자 '공매 취소'
- ∙ 與 김한규, 장동혁 겨냥 "제주 홀대가 국민의힘 총의냐" 직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