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일본 언론과의 직격 메시지
“김대중-오부치 넘어설 선언 만들겠다”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주요 언론과의 합동 인터뷰에서 한일 관계 해법을 직설적으로 꺼내 들었습니다.
“대립과 협력, 공존이 동시에 존재한다”며 “부정적 측면 때문에 유익한 협력을 버려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습니다.
과거사 문제는 존중하되,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미래지향 협력에는 속도를 내겠다는 실용 외교 노선으로 읽힙니다.
이어 이 대통령은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넘어서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안보·인적 교류를 아우르는 ‘차원이 다른’ 한일 관계를 예고하며, 선언을 넘어 실제 행동으로 증명하겠다는 신호탄을 던졌습니다.
■ 과거 인정, 그러나 ‘매몰’은 거부
이 대통령은 23일 일본 순방을 앞두고 공개된 아사히·마이니치·닛케이·산케이 신문과의 합동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은 입장을 전했습니다.
강제동원·위안부 합의에 대해서는 “국가 간 약속을 쉽게 뒤집을 수는 없다”며 기존 합의 존중을 전제했습니다.
동시에 “피해자와 유족들의 입장을 더 근본적이고 인간적인 차원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인정과 사과, 그리고 존엄 회복이 경제적 보상보다 더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대외 신뢰’와 ‘피해자 명예’라는 이중 과제를 함께 해결하겠다는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 김대중-오부치 선언, 그리고 그 너머
1998년 김대중-오부치 선언이 경제·문화·사회 교류의 토대를 닦았다면, 이번엔 한 단계 더 나아가겠다는 게 이 대통령의 구상입니다.
“이번 기회에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는,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만들고 싶다”고 밝히며, 역사 직시와 미래 지향을 동시에 껴안는 외교 프레임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올해가 한일수교 60주년이자 광복 80주년이라는 상징성과도 맞물립니다.
■ 경제·안보: 협력의 ‘격’을 높인다
이 대통령은 “무역·투자 수준을 넘는 획기적 경제협력 관계가 필요하다”며 공급망, 신에너지, 기후변화 대응까지 포괄하는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더 나아가 한·미·일, 한·일·중, 아세안+3, IPEF 등 다자 채널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태평양 연안국 경제협력기구 논의가 필요하다”는 발언은 한일 협력을 역내 구도 전체로 확장시키려는 의도로 읽힙니다.
■ 일본 수산물 문제 “신뢰 회복이 먼저”
다만 실용 외교 기조에도 불구하고,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사안에서는 선을 그었습니다.
일본 정부가 요구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산물 수입 금지 해제 문제에 대해 “우리 국민의 일본 수산물에 대한 신뢰 회복이 먼저”라고 단호히 전제했습니다.
실용 외교와 원칙 사이에서, 안전과 여론은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실용, 그러나 원칙 있는 실용
이번 인터뷰는 이 대통령 외교 기조의 핵심을 압축합니다.
과거를 부정하지 않되, 과거에 묶이지 않고 미래를 설계하겠다는 것. 실용을 내세우지만 피해자의 존엄과 국민 신뢰라는 원칙도 버리지 않겠다는 메시지입니다.
남은 과제는 선언적 언급을 넘어 구체적 실천에 쏠리고 있습니다.
한일 관계는 지금 ‘새로운 공동선언’이라는 시험대 위에 올라섰고, 그 결과가 진짜 협력의 전환점이 될지는 이제 두 정상이 행동으로 증명해야 할 차례를 맞았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대중-오부치 넘어설 선언 만들겠다”

이재명 대통령. (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주요 언론과의 합동 인터뷰에서 한일 관계 해법을 직설적으로 꺼내 들었습니다.
“대립과 협력, 공존이 동시에 존재한다”며 “부정적 측면 때문에 유익한 협력을 버려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습니다.
과거사 문제는 존중하되,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미래지향 협력에는 속도를 내겠다는 실용 외교 노선으로 읽힙니다.
이어 이 대통령은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넘어서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무역·안보·인적 교류를 아우르는 ‘차원이 다른’ 한일 관계를 예고하며, 선언을 넘어 실제 행동으로 증명하겠다는 신호탄을 던졌습니다.
■ 과거 인정, 그러나 ‘매몰’은 거부
이 대통령은 23일 일본 순방을 앞두고 공개된 아사히·마이니치·닛케이·산케이 신문과의 합동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은 입장을 전했습니다.
강제동원·위안부 합의에 대해서는 “국가 간 약속을 쉽게 뒤집을 수는 없다”며 기존 합의 존중을 전제했습니다.
동시에 “피해자와 유족들의 입장을 더 근본적이고 인간적인 차원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인정과 사과, 그리고 존엄 회복이 경제적 보상보다 더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대외 신뢰’와 ‘피해자 명예’라는 이중 과제를 함께 해결하겠다는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 김대중-오부치 선언, 그리고 그 너머
1998년 김대중-오부치 선언이 경제·문화·사회 교류의 토대를 닦았다면, 이번엔 한 단계 더 나아가겠다는 게 이 대통령의 구상입니다.
“이번 기회에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는,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만들고 싶다”고 밝히며, 역사 직시와 미래 지향을 동시에 껴안는 외교 프레임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올해가 한일수교 60주년이자 광복 80주년이라는 상징성과도 맞물립니다.
■ 경제·안보: 협력의 ‘격’을 높인다
이 대통령은 “무역·투자 수준을 넘는 획기적 경제협력 관계가 필요하다”며 공급망, 신에너지, 기후변화 대응까지 포괄하는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더 나아가 한·미·일, 한·일·중, 아세안+3, IPEF 등 다자 채널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태평양 연안국 경제협력기구 논의가 필요하다”는 발언은 한일 협력을 역내 구도 전체로 확장시키려는 의도로 읽힙니다.
■ 일본 수산물 문제 “신뢰 회복이 먼저”
다만 실용 외교 기조에도 불구하고,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사안에서는 선을 그었습니다.
일본 정부가 요구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산물 수입 금지 해제 문제에 대해 “우리 국민의 일본 수산물에 대한 신뢰 회복이 먼저”라고 단호히 전제했습니다.
실용 외교와 원칙 사이에서, 안전과 여론은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실용, 그러나 원칙 있는 실용
이번 인터뷰는 이 대통령 외교 기조의 핵심을 압축합니다.
과거를 부정하지 않되, 과거에 묶이지 않고 미래를 설계하겠다는 것. 실용을 내세우지만 피해자의 존엄과 국민 신뢰라는 원칙도 버리지 않겠다는 메시지입니다.
남은 과제는 선언적 언급을 넘어 구체적 실천에 쏠리고 있습니다.
한일 관계는 지금 ‘새로운 공동선언’이라는 시험대 위에 올라섰고, 그 결과가 진짜 협력의 전환점이 될지는 이제 두 정상이 행동으로 증명해야 할 차례를 맞았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광 전쟁의 현장] ➀ “무서워 안 간다”.. 태국, 외국인 20만명에 ‘공짜 국내선’ 뿌린다
- ∙︎ 각목 든 '문신남' 등장...제주 전통시장 공포 몰아넣은 '길거리 도박'
- ∙︎ ‘커터칼 미수’라며 축소했지만.. 이재명 대통령 테러, 특검 압박 다시 거세진다
- ∙︎ '한덕수 후보 교체 앞장' 성일종, 이번엔 김문수 사퇴 촉구
- ∙︎ 급거 방미 조현 외교 장관, 美 루비오 장관 회동...어떤 말 오갔나
- ∙︎ ‘노란봉투법’, 죽음을 막는 최소한의 법? vs 기업 내모는 ‘경제내란법’?
- ∙︎ 국제 유가 오름세에도, 주유소 값 내렸다.. 휘발유 1,600원대 일단 ‘안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