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북극항로가 제주의 지리적 한계를 기회로 바꾸는 열쇠가 될 것이란 전문가의 견해가 나왔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전날(22일) 오후 한라대학교 컨벤션센터에서 '제13회 테크플러스 제주'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선 '북극항로'를 주제로 기후위기 시대의 새로운 해양 네트워크와 제주 미래 전략의 접점이 모색됐습니다.
이날은 김기태 북극물류연구소 연구위원, 김봉철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정귀일 한국무역협회 지속성장지원실장이 발표자로 나서 북극항로 시대의 의미와 향후 제주가 북극항로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습니다.
김기태 연구위원은 '북극항로 물류의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한 특별강연에서 "북극항로 논의가 가능하게 된 것은 기후변화로북극의 얼음이 녹았기 때문"이라며 "제주는 친환경과 해수면 상승대응을 통해 대외 파트너십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남방항로 시대를 이끄는 싱가포르와 몰타항만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김봉철 교수는 '기후 위기와 북극항로의 기회'를 주제로 "제주는 평화, 인간, 환경, 기술이라는 4가지 강점을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곳"이라며 "기후위기 대응연구의 중심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극항로와 제주의 미래' 주제로 발표한 정귀일 실장은 "제주-중국 칭다오 직항로 개설이 제주의 해양시대의 서막이라면, 북극항로는 제주의 지리적 한계를 기회로 바꾸는 열쇠가 될 수 있다"며 "제주신항을 환적항구로 발전시키고, 항공과 해상을 연결하는 연계체계를 구축해 화물 물동량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북극항로와 관련된 많은 고민이 시작되는 가운데 탐라해상왕국의 실크로드를 어떻게 열어갈 것인가는 제주인에게 주어진 과제"라며 "한반도를 중심으로 왼쪽 항로와 오른쪽 북극항로가 열리면 좌우 양날개를 펼치는 역사적 사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제주 이어도 해역서 규모 2.3 지진.. "추가 발생 유의"
- ∙︎ 장동혁 선출에 민주당 "축하 어렵다"·혁신당 "극우의 길"·개혁신당 "새로운 리더십"
- ∙︎ “김문수 낙선 다행” 홍준표 직격?.. 장동혁 향한 냉혹한 경고
- ∙︎ [자막뉴스] 간호사 3명이 8,000건 담당.. 지쳐가는 추자도 의료진
- ∙︎ 나경원 "李 대통령, 트럼프에 저자세.. 무거운 짐 얹힌 외교"
- ∙︎ “전직 대통령 체면 vs. 국민 알 권리”…尹 ‘속옷 버티기’ CCTV, 공개 향방 어디로?
- ∙︎ 제주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지정.. 산모·태아 진료 기반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