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소득은 50만 원도 안 돼.. 부부·주택·지역 따라 격차 뚜렷
세종 84만, 제주 개인 68만.. 수급률 90% 육박에도 생계 ‘빠
2023년, 65살 이상 노인의 개인 월평균 연금은 69만 5,000원.
중간 소득자인 중위값의 경우, 46만 3,000원 즉 50만 원이 안 됐습니다.
‘어떻게 살라는 거냐’는 질문이 절로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 수급률 90% 넘어.. 하지만 절반에 못 미친 생활비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연금통계’에 따르면 65살 이상 연금 수급자는 863만 6천 명으로 전체 고령 인구의 90.9%였습니다.
수급률은 높아졌지만, 평균 수급액은 월 69만 5,000원. 1인 가구 최저생계비 124만 원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입니다.
■ 남성 90만 원, 여성 51만 원.. 성별 격차 고착화
성별 격차도 뚜렷합니다.
남성은 월평균 90만 1,000원을 받았지만, 여성은 51만 7,000원에 그쳤습니다.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긴 남성이 꾸준히 유입된 반면, 여성은 기초연금 의존도가 높아 격차가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연령별로 65~69살이 80만 원대로 가장 많았고, 80살 이상은 54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오래 살수록 더 가난해지는 역설적 구조입니다.
■ 가구별로 달라지는 현실.. 1인 노인 가구는 62만 원
연금 수급 가구 기준으로 보면 월평균 89만 8,000원입니다.
2인 가구는 106만 원, 부부만 사는 1세대 가구는 123만 9,000원으로 높지만, 1인 노인 가구는 62만 원 수준에 그쳤습니다.
주택 소유 여부에 따른 격차도 컸습니다. 집이 있는 노인은 87만 3,000원, 집이 없는 경우 54만 5,000원을 받았습니다.
■ 지역별 편차.. 세종 최고, 제주 개인 평균은 68만 원
지역별로는 세종이 개인 기준 월평균 84만 9,000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제주는 개인 기준 68만 원, 가구 기준 88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국 평균(개인 69만 5,000원, 가구 89만 8,000원)과 비교하면 가구 단위는 큰 차이가 없지만, 개인 기준은 낮아 노인 단독 생계의 취약성이 더 두드러졌습니다.
관광 산업 중심의 불안정한 고용 구조와 상대적으로 짧은 가입 이력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 격차 반영하는 연금 구조.. “노후 불평등 뚜렷”
연금 종류별 평균을 보면 기초연금은 29만 2,000원, 국민연금은 45만 2,000원으로 합쳐도 74만 원. 직역연금 266만 원의 4분의 1 수준에 그쳤습니다.
전문가들은 “수급자는 늘었지만 금액은 여전히 생활비를 감당하기 부족한 실정”이라며, “성별·가구·지역에 따라 벌어지는 격차는 노후 불평등 구조가 얼마나 견고한지를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종 84만, 제주 개인 68만.. 수급률 90% 육박에도 생계 ‘빠

2023년, 65살 이상 노인의 개인 월평균 연금은 69만 5,000원.
중간 소득자인 중위값의 경우, 46만 3,000원 즉 50만 원이 안 됐습니다.
‘어떻게 살라는 거냐’는 질문이 절로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 수급률 90% 넘어.. 하지만 절반에 못 미친 생활비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연금통계’에 따르면 65살 이상 연금 수급자는 863만 6천 명으로 전체 고령 인구의 90.9%였습니다.
수급률은 높아졌지만, 평균 수급액은 월 69만 5,000원. 1인 가구 최저생계비 124만 원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입니다.

■ 남성 90만 원, 여성 51만 원.. 성별 격차 고착화
성별 격차도 뚜렷합니다.
남성은 월평균 90만 1,000원을 받았지만, 여성은 51만 7,000원에 그쳤습니다.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긴 남성이 꾸준히 유입된 반면, 여성은 기초연금 의존도가 높아 격차가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연령별로 65~69살이 80만 원대로 가장 많았고, 80살 이상은 54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오래 살수록 더 가난해지는 역설적 구조입니다.
■ 가구별로 달라지는 현실.. 1인 노인 가구는 62만 원
연금 수급 가구 기준으로 보면 월평균 89만 8,000원입니다.
2인 가구는 106만 원, 부부만 사는 1세대 가구는 123만 9,000원으로 높지만, 1인 노인 가구는 62만 원 수준에 그쳤습니다.
주택 소유 여부에 따른 격차도 컸습니다. 집이 있는 노인은 87만 3,000원, 집이 없는 경우 54만 5,000원을 받았습니다.

■ 지역별 편차.. 세종 최고, 제주 개인 평균은 68만 원
지역별로는 세종이 개인 기준 월평균 84만 9,000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제주는 개인 기준 68만 원, 가구 기준 88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국 평균(개인 69만 5,000원, 가구 89만 8,000원)과 비교하면 가구 단위는 큰 차이가 없지만, 개인 기준은 낮아 노인 단독 생계의 취약성이 더 두드러졌습니다.
관광 산업 중심의 불안정한 고용 구조와 상대적으로 짧은 가입 이력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 격차 반영하는 연금 구조.. “노후 불평등 뚜렷”
연금 종류별 평균을 보면 기초연금은 29만 2,000원, 국민연금은 45만 2,000원으로 합쳐도 74만 원. 직역연금 266만 원의 4분의 1 수준에 그쳤습니다.
전문가들은 “수급자는 늘었지만 금액은 여전히 생활비를 감당하기 부족한 실정”이라며, “성별·가구·지역에 따라 벌어지는 격차는 노후 불평등 구조가 얼마나 견고한지를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