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제주 중등교사 사망 사건이 발생한 지 100일이 다가오는 가운데 교원 4명 중 1명은 학교에 민원대응팀이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6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주지부에 따르면 지난 6월 실시한 교원 인식 조사를 분석한 실태 진단 결과 응답자 1,570명 중 386명(24.59%)은 학교 민원대응팀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답했습니다.
민원 응대 자료가 학교로 배포됐다는 것을 알고 있는 응답자는 781명(49.7%)으로 절반 수준에 그쳤습니다.
전체 응답자 중 476명(30.32%)은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한다고 밝혔습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의 휴대전화 번호 공개 비율은 각각 40.71%, 56.13%로, 유치원(2.94%)과 초등학교(11.42%) 교사에 비해 월등히 높았습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휴대전화 번호 공개 이유로는 '학생과 소통을 위해'가 319명(67.0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다른 소통 방법이 없어서' 132명(27.73%), '학부모 요청에 의해' 56명(11.76%) 등 순이었습니다.
기관 차원의 민원 대응을 위해 필요한 방법(중복 선택)으로는 '악성 민원에 대한 엄정한 대응(1,332명·84.84%)'과 '교육청의 적극적 대응(1,017명·64.78%)'이 1, 2위를 차지했습니다.
전교조 제주지부는 "제주교육청이 내놓은 '교육 활동 보호 정책 강화 방안'은 제도를 나열했을 뿐"이라며 "제대로 된 진단 없이 발표한 대책들은 형식적 제도 마련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기존 체계가 왜 작동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철저한 성찰이 선행돼야 한다"며 "실효성 없는 제도는 교사들을 또다시 고립시킬 뿐"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교사 혼자 민원에 맞서지 않고 학교 공동체가 함께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며 "민원 대응 시스템 작동 실패에 대한 책임 있는 진단과 원인을 공개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면허값 2억 넘는데" 개인택시 보상은 1억 8천.. 감차 가능할까
- ∙ "파라솔 2만원이라더니" 해수욕장 고무줄 요금 관광객 빈축
- ∙ “131만 원 돌려받는다”.. 2.8조 환급 시작, 그럼 나는 얼마나?
- ∙ 제주산 주문했더니, '포르투갈산'이 나왔다...삼겹살 2.2톤 속여 판 식당
- ∙ 10만원 넣으면 30만원 적립...'희망저축계좌' 가입자 모집 [모르면손해]
- ∙ “동문시장보다 버스, 폭포보다 와이파이”.. 크루즈 37만, 시스템 채우면 “더 머물고 더 쓸까?”
- ∙ 중졸 이후 40년 공장에 청춘 바친 가장.. 4명 살리고 하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