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혁신당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
조국혁신당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이 '2030 청년 극우론' 주장에 이어 '서울 잘 사는 청년은 극우'라는 제목의 기사를 SNS에 공유하면서 또다시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조 원장은 어제(30일) 자신의 SNS에 별다른 코멘트 없이 '서울 거주 경제적 상층일수록 극우 청년일 확률 높다'는 제목의 기사를 올렸습니다.
이날 조 원장이 공유한 기사는 김창환 미 캔자스대 사회학과 교수가 언론매체·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한 내용입니다.
기사는 '2030 남성의 극우화는 실제로 존재하며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내용으로, 특히 이들 극우 청년은 서울에 거주하고 경제적 상층에 속할 확률이 높다는 결론을 담고 있습니다.
앞서 조 원장은 지난 22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사면·복권에 대해 2030 세대에서 반대 의견이 높게 나오는 것을 두고 "앞으로도 요청하시면 또 사과할 생각"이라면서도 "2030 남성이 70대와 비슷한 성향, 이른바 극우 성향을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조국혁신당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이 SNS에 올린 게시물
이를 두고 자녀 입시 비리 문제 등에 대한 2030세대에서의 비판이 2030 남성이 극우화됐기 때문이냐는 비판이 보수 진영에서 나왔습니다.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조 원장의 SNS에 대해 "서울 거주 경제적 상층 청년이 극우라면 자신의 딸인 조민 씨도 극우냐"라고 반문했습니다.
그러면서 "자신에게 비판적이라는 이유로 2030 남성을 극우로 낙인찍고, 세대·젠더 갈등을 정치적 자산으로 삼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김성열 개혁신당 수석최고위원도 자신의 SNS에 "갈라치기 1타 강사, 조국"이라고 썼습니다.
그는 "갈라치기는 '특정 나이, 특정 계층이 어떻다'라고 무식한 일반화의 오류를 하며 그들을 혐오하는 것"이라며 "'20대 서울에서 잘 사는 남자는 극우다' 이런 말들이 갈라치기의 적확한 예시"라고 지적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