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 1.7% 상승, 통신요금·석유류 안정에 지수 하락
농축수산물·가공식품은 치솟아.. 추석 장바구니 부담 ‘가중’
“먹고 살기 힘들다”는 말이 다시 입 밖으로 새어나오고 있습니다.
8월 소비자물가는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추석을 앞둔 밥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통신요금과 석유류가 지수를 끌어내렸다고는 하는데, 장바구니 물가는 정반대로 무거워졌습니다.
지표와 현실 사이의 괴리는 여전히 크고, 생활은 안정 대신 불안을 말하고 있습니다.
■ 통신요금 인하가 만든 착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16.45로, 전년 동월보다 1.7%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주 하락 요인은 통신료와 석유류가 꼽혔습니다. SK텔레콤이 50% 요금 할인을 적용해 휴대전화료가 21% 떨어졌고, 석유류 가격도 1.3% 하락하며 지수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이 효과를 제외하면 상승률은 2.3%에 달합니다.
지표가 보여주는 안정세는 일시적이라는 지적입니다.
■ 먹거리 물가는 오히려 상승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8% 올라 1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을 기록했습니다.
축산물은 7.1%, 수산물은 7.5% 상승했습니다.
쌀(11.0%), 돼지고기(9.4%), 고등어(13.6%), 복숭아(28.5%) 등 주요 품목이 일제히 올랐습니다.
가공식품도 4.2%, 외식 물가도 3.1% 상승했습니다. 장바구니 물가가 오히려 무거워진 배경입니다.
■ 체감물가, 추석 밥상 더 압박
체감물가와 직결되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5% 올랐습니다.
특히 식품 가격 오름폭이 3.9%로, 상승세가 뚜렷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추석을 앞둔 시점에서 물가 안정이라는 표현은 소비자 체감과 거리가 있습니다.
정부는 이상기후와 국제 변수 등 불확실성이 크다며 먹거리 수급 관리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추석 성수기를 앞두고 추석성수품대책 추진, 유통구조개선 대책 마련 등으로 농축산물 수급 안정에 총력전을 펼칠 계획입니다.
■ 지역별.. 제주는 채소 폭등
제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3%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지만, 신선식품 가격은 급등했습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달보다 8.2% 올랐고, 신선채소는 19.6% 상승했습니다.
품목별로 배추는 42%, 토마토는 38% 오르며 추석 밥상 차리기 부담을 키우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통계는 안정으로 보이지만 추석 밥상은 여전히 불안한 모습”이라며, “숫자가 낮아졌을 뿐, 장바구니는 결코 가벼워지지 않았다”고 해석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축수산물·가공식품은 치솟아.. 추석 장바구니 부담 ‘가중’

“배추 42%↑·토마토 38%↑… 통신요금 21%↓에도 밥상은 불안”
“먹고 살기 힘들다”는 말이 다시 입 밖으로 새어나오고 있습니다.
8월 소비자물가는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추석을 앞둔 밥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통신요금과 석유류가 지수를 끌어내렸다고는 하는데, 장바구니 물가는 정반대로 무거워졌습니다.
지표와 현실 사이의 괴리는 여전히 크고, 생활은 안정 대신 불안을 말하고 있습니다.
■ 통신요금 인하가 만든 착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16.45로, 전년 동월보다 1.7%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주 하락 요인은 통신료와 석유류가 꼽혔습니다. SK텔레콤이 50% 요금 할인을 적용해 휴대전화료가 21% 떨어졌고, 석유류 가격도 1.3% 하락하며 지수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이 효과를 제외하면 상승률은 2.3%에 달합니다.
지표가 보여주는 안정세는 일시적이라는 지적입니다.
■ 먹거리 물가는 오히려 상승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8% 올라 1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을 기록했습니다.
축산물은 7.1%, 수산물은 7.5% 상승했습니다.
쌀(11.0%), 돼지고기(9.4%), 고등어(13.6%), 복숭아(28.5%) 등 주요 품목이 일제히 올랐습니다.
가공식품도 4.2%, 외식 물가도 3.1% 상승했습니다. 장바구니 물가가 오히려 무거워진 배경입니다.

■ 체감물가, 추석 밥상 더 압박
체감물가와 직결되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5% 올랐습니다.
특히 식품 가격 오름폭이 3.9%로, 상승세가 뚜렷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추석을 앞둔 시점에서 물가 안정이라는 표현은 소비자 체감과 거리가 있습니다.
정부는 이상기후와 국제 변수 등 불확실성이 크다며 먹거리 수급 관리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추석 성수기를 앞두고 추석성수품대책 추진, 유통구조개선 대책 마련 등으로 농축산물 수급 안정에 총력전을 펼칠 계획입니다.

■ 지역별.. 제주는 채소 폭등
제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3%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지만, 신선식품 가격은 급등했습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달보다 8.2% 올랐고, 신선채소는 19.6% 상승했습니다.
품목별로 배추는 42%, 토마토는 38% 오르며 추석 밥상 차리기 부담을 키우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통계는 안정으로 보이지만 추석 밥상은 여전히 불안한 모습”이라며, “숫자가 낮아졌을 뿐, 장바구니는 결코 가벼워지지 않았다”고 해석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