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탈당 뒤 나온 조국의 ‘위로문’ 논란
“비당원이라 개입 못했다? 국민이 납득 못할 해명”
조국혁신당 성 비위 사건은 이제 정치의 책임을 정면으로 묻고 있습니다.
피해자 탈당 선언 직후 조국 조국혁신당 혁신정책연구원장이 “깊은 위로”를 전했지만,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사과가 아니라 변명”이라며 직격했습니다.
피해자 보호보다 절차 논리에 기대는 정치의 태도가 신뢰를 무너뜨렸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 조국, “위로”와 함께 내놓은 해명
5일 정치권에 따르면, 조국 원장은 4일 SNS에 “큰 상처를 입은 피해자분들께 위로를 전한다”며 “관용 없는 처벌과 온전한 회복 제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당시 비당원 신분이라 당 절차에 개입할 수 없었다”는 해명을 덧붙였습니다. 피해자 탈당 직후에야 나온 설명은 책임보다 자기 변명에 가까웠다는 평가를 낳고 있습니다.
■ 박지현 “정치인의 무게는 책임”
박 전 위원장은 곧장 반박했습니다.
“피해자의 고통은 구체적인데, 조 원장의 입장은 추상적이었다”며 “비당원이라 할 수 없었다는 말은 국민이 납득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사과는 변명이 아니라 책임이며, 정치인의 무게는 그 책임에서 나온다”고 강조했습니다.
■ 탈당이 드러낸 불신의 민낯
강미정 혁신당 대변인은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당이 성 비위 사건에 미온적으로 대응했다”며 탈당을 선언했습니다.
가해 당직자는 제명됐지만, 피해자 보호와 회복 과정은 여전히 불투명했습니다.
피해자가 등을 돌린 직후 지도부가 내놓은 해명은 불신을 더욱 키웠습니다.
■ 반복되는 정치의 실패
성 비위 사건 때마다 정치권은 절차와 명분으로 사태를 봉합해 왔습니다.
하지만 피해자 보호는 늘 뒤로 밀렸습니다.
이번에도 조국 원장의 ‘비당원’ 해명은 그 전형을 되풀이했습니다.
피해자는 떠났고, 책임은 비껴갔습니다.
남은 것은 정치에 대한 불신뿐인 상황에, 누구도 그 무게를 책임지지 않으면서 정치 자체가 스스로 존재 이유를 입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당원이라 개입 못했다? 국민이 납득 못할 해명”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왼쪽), 조국 조국혁신당 혁신정책연구원장.
조국혁신당 성 비위 사건은 이제 정치의 책임을 정면으로 묻고 있습니다.
피해자 탈당 선언 직후 조국 조국혁신당 혁신정책연구원장이 “깊은 위로”를 전했지만,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사과가 아니라 변명”이라며 직격했습니다.
피해자 보호보다 절차 논리에 기대는 정치의 태도가 신뢰를 무너뜨렸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조국 원장 본인 페이스북 캡처.
■ 조국, “위로”와 함께 내놓은 해명
5일 정치권에 따르면, 조국 원장은 4일 SNS에 “큰 상처를 입은 피해자분들께 위로를 전한다”며 “관용 없는 처벌과 온전한 회복 제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당시 비당원 신분이라 당 절차에 개입할 수 없었다”는 해명을 덧붙였습니다. 피해자 탈당 직후에야 나온 설명은 책임보다 자기 변명에 가까웠다는 평가를 낳고 있습니다.
■ 박지현 “정치인의 무게는 책임”
박 전 위원장은 곧장 반박했습니다.
“피해자의 고통은 구체적인데, 조 원장의 입장은 추상적이었다”며 “비당원이라 할 수 없었다는 말은 국민이 납득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사과는 변명이 아니라 책임이며, 정치인의 무게는 그 책임에서 나온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지현 전 위원장 본인 페이스북 캡처.
■ 탈당이 드러낸 불신의 민낯
강미정 혁신당 대변인은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당이 성 비위 사건에 미온적으로 대응했다”며 탈당을 선언했습니다.
가해 당직자는 제명됐지만, 피해자 보호와 회복 과정은 여전히 불투명했습니다.
피해자가 등을 돌린 직후 지도부가 내놓은 해명은 불신을 더욱 키웠습니다.
■ 반복되는 정치의 실패
성 비위 사건 때마다 정치권은 절차와 명분으로 사태를 봉합해 왔습니다.
하지만 피해자 보호는 늘 뒤로 밀렸습니다.
이번에도 조국 원장의 ‘비당원’ 해명은 그 전형을 되풀이했습니다.
피해자는 떠났고, 책임은 비껴갔습니다.
남은 것은 정치에 대한 불신뿐인 상황에, 누구도 그 무게를 책임지지 않으면서 정치 자체가 스스로 존재 이유를 입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