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온항습기·네트워크 장비 복구 착수… 중대본 “국민 불확실성 줄이겠다”
647개 시스템 가동 중단, ‘단일집중 구조’ 취약성 노출
국가 핵심 전산망이 한 차례 화재로 무너졌습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96개 시스템이 직접 피해를 입었고, 정부는 대구센터로의 이전·재설치를 추진하며 복구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사태는 중앙집중식 전산 구조의 한계를 고스란히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정부 전산망 복구체제로 전환했다고 밝혔습니다.
중대본에 따르면 직접 피해 시스템은 당초 발표된 70개에서 96개로 늘었으며, 가용 자원을 활용하거나 대구센터의 민관협력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해 재설치할 계획입니다.
중대본은 이날 항온항습기 복구를 마쳤고, 다음 날까지 네트워크 장비 교체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이후 국민 안전·경제 활동과 직결된 행정정보시스템부터 단계적으로 재가동할 예정입니다.
윤 장관은 “복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중단된 551개 시스템도 순차적으로 재가동할 수 있다”며, “국민들의 불확실성을 줄이겠다”고 말했습니다.
화재는 지난 26일 밤 8시 20분쯤 대전 본원 전산실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시작돼,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에야 진화됐습니다.
전산실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항온항습기가 멈췄고, 국정자원은 전산 장비 손상을 막기 위해 647개 업무시스템 전원을 전면 차단했습니다.
소방당국은 전소된 배터리 384대 중 250여 대를 반출했고, 잔여 장비는 현재 안전 점검이 진행 중입니다.
정부는 복구 작업과 동시에 재발 방지책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그러나 핵심 시스템이 특정 시설에 집중된 구조적 취약성은 정부24, 국민신문고, 모바일 신분증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의 마비로 이어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중앙집중식 체계가 사태를 키웠다”면서, 리튬이온배터리 관리 규정 강화와 함께 재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분산형 복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647개 시스템 가동 중단, ‘단일집중 구조’ 취약성 노출

27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행정안전부)
국가 핵심 전산망이 한 차례 화재로 무너졌습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96개 시스템이 직접 피해를 입었고, 정부는 대구센터로의 이전·재설치를 추진하며 복구에 돌입했습니다.
이번 사태는 중앙집중식 전산 구조의 한계를 고스란히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정부 전산망 복구체제로 전환했다고 밝혔습니다.
중대본에 따르면 직접 피해 시스템은 당초 발표된 70개에서 96개로 늘었으며, 가용 자원을 활용하거나 대구센터의 민관협력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해 재설치할 계획입니다.
중대본은 이날 항온항습기 복구를 마쳤고, 다음 날까지 네트워크 장비 교체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이후 국민 안전·경제 활동과 직결된 행정정보시스템부터 단계적으로 재가동할 예정입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윤 장관은 “복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중단된 551개 시스템도 순차적으로 재가동할 수 있다”며, “국민들의 불확실성을 줄이겠다”고 말했습니다.
화재는 지난 26일 밤 8시 20분쯤 대전 본원 전산실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시작돼,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에야 진화됐습니다.
전산실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항온항습기가 멈췄고, 국정자원은 전산 장비 손상을 막기 위해 647개 업무시스템 전원을 전면 차단했습니다.
소방당국은 전소된 배터리 384대 중 250여 대를 반출했고, 잔여 장비는 현재 안전 점검이 진행 중입니다.
정부는 복구 작업과 동시에 재발 방지책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그러나 핵심 시스템이 특정 시설에 집중된 구조적 취약성은 정부24, 국민신문고, 모바일 신분증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의 마비로 이어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중앙집중식 체계가 사태를 키웠다”면서, 리튬이온배터리 관리 규정 강화와 함께 재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분산형 복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600명이 걷고, 마을이 답했다”… 제주의 슈퍼하이킹, 여행의 미래를 열다
- ∙︎ 한동훈 “내가 李 ‘방북대가’ 증명한다”… 민주당 향해 무고죄 맞고발 선언
- ∙︎ 주차장 잠기고, 주택도 침수.. 새벽 폭우 덮친 제주 '물바다'
- ∙︎ '부메랑'된 李 대통령 2년 전 발언.. 野 "행안부 장관 경질하라"
- ∙︎ [제주날씨] 흐리고, 곳에 따라 가끔 비.. 최고 체감온도 31도
- ∙︎ “정부 전산망, 한 번의 화재에 무너졌다”… 96개 시스템 피해 확인, 대구로 이전 복구 검토
- ∙︎ 칼끝이 남긴 흔적, 여백이 불러낸 숨… 김순관 첫 판화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