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는 면제돼도 불편은 그대로
대규모 자금공급, 매년 이어진 관행
추석 연휴(10월 3~9일) 금융 일정이 모두 10월 10일로 밀립니다.
카드값, 대출 만기, 공과금 자동이체가 한날에 몰리고, 주식 매도대금도 지급이 순연됩니다.
금융당국은 ‘연체 없는 순연’과 ‘101조 공급’을 내세웠지만, 실상은 해마다 반복되는 관행적 조치입니다.
소비자와 기업 입장에서는 편의는 제한적인 반면, ‘한날 쏠림’이라는 부담은 여전히 남는다는 시각도 이어집니다.
■ 카드·대출·공과금, 모두 10일로 순연
2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연휴 중 도래하는 은행·보험·카드·저축은행 대출 만기는 연체이자 없이 자동으로 10월 10일로 연기됩니다.
고객이 원하면 연휴 전인 2일 조기 상환도 가능합니다.
카드대금, 보험료, 통신료, 공과금 자동이체 역시 같은 날 출금됩니다.
예금 만기 환급은 연휴 기간 이자를 포함해 10일 지급되고, 주택연금은 예외적으로 2일에 선지급됩니다.
주식 매도대금은 T+2 원칙에 따라 2일 매도분은 13일 수령해야 합니다.
연체 부담은 줄지만, 모든 납부와 지급이 연휴 직후 ‘10월 10일’로 몰리는 구조적 불편은 그대로 남습니다.
■ “101조 공급”… 실제론 숫자만 커져
금융당국은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총 101조 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절반 이상은 해마다 반복되는 지원 구조입니다.
정책금융기관은 22조 2,000억 원 특별대출·보증을 지원하는데, 지난해 추석에도 21조 원대가 풀렸습니다.
은행권이 공급한다고 밝힌 78조 8,000억 원 역시 신규 자금이 아니라 기존 대출 연장분까지 포함된 총량입니다.
전통시장 상인 대상 50억 원 소액대출도 매년 비슷한 규모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101조’는 화려해 보이지만, 실상은 합산된 수치인데다 소비자나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새로움은 제한적인 모습입니다.
■ 현장 창구 확대, 그러나 불편 남아
연휴 기간 금융 불편 해소를 위해 고속도로 휴게소에는 13개 이동점포가, 공항과 외국인 근로자 밀집 지역에는 11개 탄력점포가 운영됩니다.
입출금, 신권 교환, 환전, 송금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그러나 실제 연휴 직후 ‘10월 10일 집중일’에 모든 납부와 결제가 몰리면서 소비자와 기업 모두 자금 압박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편의 창구가 늘어나도 집중일 리스크라는 구조적 부담은 여전합니다.
■ 보이스피싱·불법사금융도 주의
연휴 전후로 택배·공공기관 사칭 문자 등 피싱 시도가 급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악성 앱 설치 등 금융정보 유출이 의심되면 거래 금융사에 즉시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연 20% 초과 불법대출, 불법추심 등 불법사금융 피해에도 유의해야 합니다.
금융당국과 금융사는 연휴 기간 디도스·랜섬웨어 등 사이버 침해에 대비해 비상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당국은 “만기 순연·현장 창구 확대·대규모 자금 공급으로 금융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규모 자금공급, 매년 이어진 관행

(픽사베이)
추석 연휴(10월 3~9일) 금융 일정이 모두 10월 10일로 밀립니다.
카드값, 대출 만기, 공과금 자동이체가 한날에 몰리고, 주식 매도대금도 지급이 순연됩니다.
금융당국은 ‘연체 없는 순연’과 ‘101조 공급’을 내세웠지만, 실상은 해마다 반복되는 관행적 조치입니다.
소비자와 기업 입장에서는 편의는 제한적인 반면, ‘한날 쏠림’이라는 부담은 여전히 남는다는 시각도 이어집니다.
■ 카드·대출·공과금, 모두 10일로 순연
2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연휴 중 도래하는 은행·보험·카드·저축은행 대출 만기는 연체이자 없이 자동으로 10월 10일로 연기됩니다.
고객이 원하면 연휴 전인 2일 조기 상환도 가능합니다.
카드대금, 보험료, 통신료, 공과금 자동이체 역시 같은 날 출금됩니다.
예금 만기 환급은 연휴 기간 이자를 포함해 10일 지급되고, 주택연금은 예외적으로 2일에 선지급됩니다.
주식 매도대금은 T+2 원칙에 따라 2일 매도분은 13일 수령해야 합니다.
연체 부담은 줄지만, 모든 납부와 지급이 연휴 직후 ‘10월 10일’로 몰리는 구조적 불편은 그대로 남습니다.

■ “101조 공급”… 실제론 숫자만 커져
금융당국은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총 101조 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절반 이상은 해마다 반복되는 지원 구조입니다.
정책금융기관은 22조 2,000억 원 특별대출·보증을 지원하는데, 지난해 추석에도 21조 원대가 풀렸습니다.
은행권이 공급한다고 밝힌 78조 8,000억 원 역시 신규 자금이 아니라 기존 대출 연장분까지 포함된 총량입니다.
전통시장 상인 대상 50억 원 소액대출도 매년 비슷한 규모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101조’는 화려해 보이지만, 실상은 합산된 수치인데다 소비자나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새로움은 제한적인 모습입니다.

■ 현장 창구 확대, 그러나 불편 남아
연휴 기간 금융 불편 해소를 위해 고속도로 휴게소에는 13개 이동점포가, 공항과 외국인 근로자 밀집 지역에는 11개 탄력점포가 운영됩니다.
입출금, 신권 교환, 환전, 송금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그러나 실제 연휴 직후 ‘10월 10일 집중일’에 모든 납부와 결제가 몰리면서 소비자와 기업 모두 자금 압박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편의 창구가 늘어나도 집중일 리스크라는 구조적 부담은 여전합니다.

■ 보이스피싱·불법사금융도 주의
연휴 전후로 택배·공공기관 사칭 문자 등 피싱 시도가 급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악성 앱 설치 등 금융정보 유출이 의심되면 거래 금융사에 즉시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연 20% 초과 불법대출, 불법추심 등 불법사금융 피해에도 유의해야 합니다.
금융당국과 금융사는 연휴 기간 디도스·랜섬웨어 등 사이버 침해에 대비해 비상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당국은 “만기 순연·현장 창구 확대·대규모 자금 공급으로 금융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