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전국 결혼서비스 업체 504곳 조사
결혼 평균 비용 2,160만 원.. 2개월 만에 4.1%↑
식대 중간 가격 5만 8,000원→6만 원으로 올라
대관료도 급증.. 업체 측 "꽃·인건비 부담" 해명
계약서에 불공정 약관도 수두룩.. 개선 요구
결혼식 준비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1명 당 식대 중간 가격이 6만 원을 넘어서는 등 예비 신혼부부의 부담을 키우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14개 지역 결혼서비스 업체 504 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18일부터 29일까지 결혼식장과 이른바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비용을 조사한 결과 전체 결혼 서비스 평균 비용은 2,160만 원으로 2개월 전보다 비교해 4.1% 늘었습니다.
지역별로는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우선 서울 강남이 3,509만 원으로 경상도 1,181만 원과 비교해 3배가 넘는 차이를 보였습니다.
수도권의 결혼비용은 2,665만 원으로 비수도권 1,511만 원보다 2배 가까이 비쌌습니다.
지난 달 결혼비용을 6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4.3% 늘었지만 비수도권은 1.9% 줄었습니다.
결혼식장 1명 당 식대의 경우 중간 가격은 지난 달 기준 6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개월 전인 지난 6월 5만 8,000원과 비교하면 3.4%인 2,000원 올랐습니다.
지역별로는 강남이 8만 3,000원에서 8만 8,000원으로 5,000원(6.0%) 높아져 가장 비쌌고, 2개월 전과 비교해 상승률도 높았습니다.
전국 대관료 중간 가격은 지난 6월 300만 원에서 지난 달 350만 원으로 50만원 올랐습니다.
강남지역 대관료가 690만 원에서 750만 원으로 60만원 상승했고, 경상지역은 130만 원에서 270만 원으로 갑절 이상 늘었습니다.
결혼식 대관료 인상 요인에 대해 식장 측은 식재료와 장식·꽃 등 주요 자재의 구매 단가 상승과 인건비 인상 등을 꼽았습니다.
스드메 패키지 등 개별 서비스 가격은 2개월 전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스튜디오는 132만 원으로 가격 변동이 없었고, 드레스는 4만 원(2.6%) 오른 155만 원, 메이크업은 4만 원(5.5%) 상승한 77만 원으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생화 꽃장식'은 지난 6월 200만 원에서 지난 달 262만 원으로 62만 원, 31.0%나 뛰었습니다.
소비자원은 또 결혼준비 대행업체 20개사의 계약서에서 모두 불공정한 약관 조항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19개사의 경우 '사진 파일 구입비', '드레스 피팅비' 등 필수 옵션을 기본 제공 서비스가 아닌 별도 항목으로 넣었고, 13개사는 옵션 가격을 구체적으로 표시하지 않고 '별도'로만 표기했습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공정거래위원회와 공유하고 표준계약서 사용을 권장 할 방침입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결혼 평균 비용 2,160만 원.. 2개월 만에 4.1%↑
식대 중간 가격 5만 8,000원→6만 원으로 올라
대관료도 급증.. 업체 측 "꽃·인건비 부담" 해명
계약서에 불공정 약관도 수두룩.. 개선 요구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결혼식 준비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1명 당 식대 중간 가격이 6만 원을 넘어서는 등 예비 신혼부부의 부담을 키우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14개 지역 결혼서비스 업체 504 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18일부터 29일까지 결혼식장과 이른바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비용을 조사한 결과 전체 결혼 서비스 평균 비용은 2,160만 원으로 2개월 전보다 비교해 4.1% 늘었습니다.
지역별로는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우선 서울 강남이 3,509만 원으로 경상도 1,181만 원과 비교해 3배가 넘는 차이를 보였습니다.
수도권의 결혼비용은 2,665만 원으로 비수도권 1,511만 원보다 2배 가까이 비쌌습니다.
지난 달 결혼비용을 6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4.3% 늘었지만 비수도권은 1.9% 줄었습니다.
결혼식장 1명 당 식대의 경우 중간 가격은 지난 달 기준 6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개월 전인 지난 6월 5만 8,000원과 비교하면 3.4%인 2,000원 올랐습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지역별로는 강남이 8만 3,000원에서 8만 8,000원으로 5,000원(6.0%) 높아져 가장 비쌌고, 2개월 전과 비교해 상승률도 높았습니다.
전국 대관료 중간 가격은 지난 6월 300만 원에서 지난 달 350만 원으로 50만원 올랐습니다.
강남지역 대관료가 690만 원에서 750만 원으로 60만원 상승했고, 경상지역은 130만 원에서 270만 원으로 갑절 이상 늘었습니다.
결혼식 대관료 인상 요인에 대해 식장 측은 식재료와 장식·꽃 등 주요 자재의 구매 단가 상승과 인건비 인상 등을 꼽았습니다.
스드메 패키지 등 개별 서비스 가격은 2개월 전과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스튜디오는 132만 원으로 가격 변동이 없었고, 드레스는 4만 원(2.6%) 오른 155만 원, 메이크업은 4만 원(5.5%) 상승한 77만 원으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생화 꽃장식'은 지난 6월 200만 원에서 지난 달 262만 원으로 62만 원, 31.0%나 뛰었습니다.
소비자원은 또 결혼준비 대행업체 20개사의 계약서에서 모두 불공정한 약관 조항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19개사의 경우 '사진 파일 구입비', '드레스 피팅비' 등 필수 옵션을 기본 제공 서비스가 아닌 별도 항목으로 넣었고, 13개사는 옵션 가격을 구체적으로 표시하지 않고 '별도'로만 표기했습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공정거래위원회와 공유하고 표준계약서 사용을 권장 할 방침입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