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영규 부사장 "업데이트 이전 롤백 기술적 불가능"
"이용자 불편 잘 알고 있어.. 조만간 개선토록 노력"
최근 카카오톡의 대규모 업데이트 이후 이용자들의 혹평을 받고 있는 카카오가 업데이트 전으로 서비스를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은 어제(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최근 카톡 업데이트와 관련해 이같이 답했습니다.
우 부사장은 카톡 업데이트 이후 이용자 불편이 속출한다는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 질의에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업데이트를 (수동으로) 안 받은 이용자는 (이전 버전을) 쓸 수 있지만 애프터서비스(A/S)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용자 불편 사항을 잘 알고 있고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며 "조만간 개선될 수 있게 하겠다"고 했습니다.
카카오톡은 지난달 23일 이프 카카오를 통해 격자형 피드로 친구탭을 개편하고 숏폼탭을 추가하는 등 대대적 업데이트를 공개한 이후 거센 이용자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이에 업데이트 엿새 만에 부랴부랴 4분기 내 친구탭 첫 화면을 기존 가나다순의 '친구 목록'으로 되살리고 지금의 피드형 게시물은 별도 '소식'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백기를 들었지만 이용자들은 '최악', '망했다' 등의 혹평 리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를 총괄한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에 대한 SNS 등을 통한 각종 공개 비판도 아직 사라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우 부사장은 "이미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 판매 수익 때문에 롤백을 못하는 건 아닌가"라고 묻는 황 의원 질의에 "그런 얘기가 외부에 있다고는 들었지만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미성년자에게 숏폼(짧은 영상) 콘텐츠를 무차별하게 노출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14세 미만 미성년자에 대해 맞춤형 광고를 위한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게 하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15세 이상 이용자에 대해서는 비식별 정보에 대한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고 있고, 이를 활용하고 있다"며 "(식별 행태적 정보 활용 시) 개보위 권고사항을 따르고 사전 동의를 받을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용자 불편 잘 알고 있어.. 조만간 개선토록 노력"

최근 카카오톡의 대규모 업데이트 이후 이용자들의 혹평을 받고 있는 카카오가 업데이트 전으로 서비스를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우영규 카카오 부사장은 어제(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최근 카톡 업데이트와 관련해 이같이 답했습니다.
우 부사장은 카톡 업데이트 이후 이용자 불편이 속출한다는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 질의에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업데이트를 (수동으로) 안 받은 이용자는 (이전 버전을) 쓸 수 있지만 애프터서비스(A/S)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용자 불편 사항을 잘 알고 있고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며 "조만간 개선될 수 있게 하겠다"고 했습니다.

카카오톡의 최근 업데이트 핵심인 친구탭 개편 (카카오 제공)
카카오톡은 지난달 23일 이프 카카오를 통해 격자형 피드로 친구탭을 개편하고 숏폼탭을 추가하는 등 대대적 업데이트를 공개한 이후 거센 이용자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이에 업데이트 엿새 만에 부랴부랴 4분기 내 친구탭 첫 화면을 기존 가나다순의 '친구 목록'으로 되살리고 지금의 피드형 게시물은 별도 '소식' 메뉴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백기를 들었지만 이용자들은 '최악', '망했다' 등의 혹평 리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를 총괄한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에 대한 SNS 등을 통한 각종 공개 비판도 아직 사라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우 부사장은 "이미 전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 판매 수익 때문에 롤백을 못하는 건 아닌가"라고 묻는 황 의원 질의에 "그런 얘기가 외부에 있다고는 들었지만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미성년자에게 숏폼(짧은 영상) 콘텐츠를 무차별하게 노출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14세 미만 미성년자에 대해 맞춤형 광고를 위한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게 하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15세 이상 이용자에 대해서는 비식별 정보에 대한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고 있고, 이를 활용하고 있다"며 "(식별 행태적 정보 활용 시) 개보위 권고사항을 따르고 사전 동의를 받을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JIBS 제주방송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