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야경
정부가 캄보디아 스캠(사기)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이 1,000명 남짓으로 추정된다고 밝힌 가운데 실제 가담 인원이 더 많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통계가 나왔습니다.
오늘(20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13명이던 캄보디아 출국자와 한국 입국자 수의 차이는 2022년 3,209명, 2023년 2,662명, 지난해 3,248명 등으로 폭증했습니다.
2022년 이후 2,000∼3,000명대까지 껑충 뛴 겁니다.
이는 캄보디아로 출국한 한국인이 매년 수천 명씩 귀국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는 수치입니다.
올해도 지난 8월까지 864명이 돌아오지 않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캄보디아로 향한 한국인은 2021년 5,476명에서 2022년 3만 5,606명, 2023년 8만 4,378명, 지난해 10만 820명 등으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같은 기간 캄보디아에서 입국한 한국인은 각각 2021년 5,363명, 2022년 3만 2,397명, 2023년 8만 1,716명, 지난해 9만 7,572명이었습니다.
올해의 경우 1∼8월 6만 7,609명이 캄보디아로 향했지만 6만 6,745명만 되돌아왔습니다.
태국, 베트남 등 인접국을 통해 캄보디아로 들어가 돌아오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캄보디아 이민청이 집계한 캄보디아 입국 한국인 수치는 2021년 6,074명, 2022년 6만 4,040명, 2023년 17만 171명, 지난해 19만 2,305명, 올해 1∼7월 10만 6,686명을 기록했습니다.
특정 연도에 따라 우리 통계보다 2배 가까이 많습니다.
실제 현지 사정에 정통한 이들 사이에서도 캄보디아 '웬치(범죄단지)'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스캠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이 정부가 추정한 1,000명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박 의원은 "현지 증언대로라면 아직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들이 많이 있는 것 같다"며 "개별 출입국 기록과 자료를 정부 차원에서 전면 대조해 미복귀자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영사조력법 개정을 조속히 추진하고, 캄보디아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동종 사건이 발생하는 만큼 이에 선제 대응하고 인력·예산이 지원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기후경제, 제주의 다음 장] ② “기온 1도, 산업이 바뀐다”… 감귤의 땅, 균형이 무너졌다
- ∙︎ “가방·목걸이·구두”… 통일교, 김건희 여사 ‘명품 선물’ 실물로 드러났다
- ∙︎ "조수입 5조원 넘었지만"…제주 1차산업, 도민 체감도는 '뚝'
- ∙︎ “가을도 건너뛴 하늘길”… 제주항공, 내년 2월 특가로 ‘선예매 경쟁’ 점화
- ∙︎ [자막뉴스] 병든 흑염소 유통하려고?...불법 도축 3명 구속
- ∙︎ “일손만 채우는 지원이 아니야”… 제주농협, 다문화가족 ‘지역 인재’로 키운다
- ∙︎ [제주날씨] 서귀포시 낮 최고 24℃...당분간 높은 물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