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망명 언급 뒤 일본행, 그리고 호주로
정치의 무대가 국경을 넘어간다
‘한국사 강사’로 알려진 전한길(본명 전유관) 씨가 후지산 아래에 섰습니다.
손팻말엔 ‘1905 을사늑약’, 그리고 ‘2025 친중 이재명’이 함께 적혀 있었습니다.
1905년과 2025년, 멀게 느껴지는 두 숫자 사이에서 “대한민국이 다시 식민지로 향하고 있다”고 외쳤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을 살려달라”는 외침이 일본 교민을 향했습니다.
■ ‘을사늑약–한일병합–친중 이재명’… 그가 만든 시간표
17일, 전 씨의 유튜브 채널에는 후지산을 배경으로 한 1인 시위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을사늑약으로 시작된 35년의 식민지 시대를 기억하라”며 “이재명 정부가 중국에 나라를 넘기려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손에는 ‘1905’, ‘1910’, 그리고 ‘2025’가 나란히 놓여 있었습니다.
역사를 병렬로 세워놓고 현재를 끼워 넣었습니다.
전 씨는 라이브 방송에서 “한미동맹이 깨질 것”, “중국의 하수인이 될 것”이라며 정부의 외교 방향을 ‘매국’으로 규정했습니다.
시청자들에게 “이 정권을 어떻게 할지 판단해 달라”고도 했습니다.
근거보다 확신이 앞섰고, 역사보다 감정이 가까웠습니다.
강단에 서던 ‘역사 해설자’가 정치의 언어를 손에 쥔 순간이었습니다.
■ 망명에서 ‘국외 캠페인’으로
전한길 씨는 은 지난 8월 미국 워싱턴D.C.로 떠났습니다.
“나에게 망명을 제안하는 사람들이 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신변 안전을 이유로 구체적인 체류지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 달 뒤, 일본 신주쿠 한복판에 섰습니다.
피켓엔 ‘이재명=히틀러’, 그리고 “대한민국을 살려주십시오”가 적혀 있었습니다.
전 씨는 “교민들이 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다”며 “해외에서라도 한국의 현실을 알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치적 망명이라기보다, 정치적 순례에 가까웠습니다.
재차 전 씨는 무대를 옮겼습니다. 17일에는 호주행을 밝혔습니다.
이같은 여정은 여행처럼 보였지만, 던지는 메시지는 하나였습니다.
대한민국 정치를 정면으로 향했습니다.
■ ‘국내 정권 비판’이 아니라 ‘정치의 국외화’
이 사건은 한 유튜버의 행동으로만 보기 어렵습니다.
정치 메시지가 해외 공간으로 옮겨졌다는 점에서, 그 방식 자체가 새로운 변화를 말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막힌 발언 구조를 교민 사회로 돌려 세우는 전략, 그리고 국가 경계를 넘어서는 ‘정치의 해외화’가 현실이 됐습니다.
그 메시지는 미국에서 시작돼 일본을 거쳐 호주로 이어졌습니다.
주장은 사실 여부보다 ‘전파력’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을사늑약’이라는 단어는 검색어로 떠오르고, ‘친중’이라는 문장은 즉각적인 분노를 유발합니다.
전 씨가 던진 문장은 팩트보다 속도를 겨냥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을 살려달라’는 구호는 절박하면서도 공격적입니다.
그 말이 향한 곳은 정부가 아니라, 화면 너머 시청자들이었습니다.
후지산 앞의 피켓은 거리의 메시지가 아니라, 여론을 흔드는 표적이었습니다.
앞서 전 씨는 지난 8월 25일 출국 이후 미국에 머물러 왔고 “망명 제안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15일 일본으로 입국해 이틀 뒤 호주행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행선지는 바뀌었지만, 외치는 구호는 한결 같았고, 미국에서 시작된 메시지는 일본을 거쳐 호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치의 무대가 국경을 넘어간다

전한길 씨가 17일 후지산을 배경으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유튜브 캡처)
‘한국사 강사’로 알려진 전한길(본명 전유관) 씨가 후지산 아래에 섰습니다.
손팻말엔 ‘1905 을사늑약’, 그리고 ‘2025 친중 이재명’이 함께 적혀 있었습니다.
1905년과 2025년, 멀게 느껴지는 두 숫자 사이에서 “대한민국이 다시 식민지로 향하고 있다”고 외쳤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을 살려달라”는 외침이 일본 교민을 향했습니다.
■ ‘을사늑약–한일병합–친중 이재명’… 그가 만든 시간표
17일, 전 씨의 유튜브 채널에는 후지산을 배경으로 한 1인 시위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을사늑약으로 시작된 35년의 식민지 시대를 기억하라”며 “이재명 정부가 중국에 나라를 넘기려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손에는 ‘1905’, ‘1910’, 그리고 ‘2025’가 나란히 놓여 있었습니다.
역사를 병렬로 세워놓고 현재를 끼워 넣었습니다.
전 씨는 라이브 방송에서 “한미동맹이 깨질 것”, “중국의 하수인이 될 것”이라며 정부의 외교 방향을 ‘매국’으로 규정했습니다.
시청자들에게 “이 정권을 어떻게 할지 판단해 달라”고도 했습니다.
근거보다 확신이 앞섰고, 역사보다 감정이 가까웠습니다.
강단에 서던 ‘역사 해설자’가 정치의 언어를 손에 쥔 순간이었습니다.

전 씨가 신주쿠 거리에서 자신의 시위 장면을 배경으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
■ 망명에서 ‘국외 캠페인’으로
전한길 씨는 은 지난 8월 미국 워싱턴D.C.로 떠났습니다.
“나에게 망명을 제안하는 사람들이 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신변 안전을 이유로 구체적인 체류지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 달 뒤, 일본 신주쿠 한복판에 섰습니다.
피켓엔 ‘이재명=히틀러’, 그리고 “대한민국을 살려주십시오”가 적혀 있었습니다.
전 씨는 “교민들이 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다”며 “해외에서라도 한국의 현실을 알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치적 망명이라기보다, 정치적 순례에 가까웠습니다.
재차 전 씨는 무대를 옮겼습니다. 17일에는 호주행을 밝혔습니다.
이같은 여정은 여행처럼 보였지만, 던지는 메시지는 하나였습니다.
대한민국 정치를 정면으로 향했습니다.
■ ‘국내 정권 비판’이 아니라 ‘정치의 국외화’
이 사건은 한 유튜버의 행동으로만 보기 어렵습니다.
정치 메시지가 해외 공간으로 옮겨졌다는 점에서, 그 방식 자체가 새로운 변화를 말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막힌 발언 구조를 교민 사회로 돌려 세우는 전략, 그리고 국가 경계를 넘어서는 ‘정치의 해외화’가 현실이 됐습니다.
그 메시지는 미국에서 시작돼 일본을 거쳐 호주로 이어졌습니다.
주장은 사실 여부보다 ‘전파력’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을사늑약’이라는 단어는 검색어로 떠오르고, ‘친중’이라는 문장은 즉각적인 분노를 유발합니다.
전 씨가 던진 문장은 팩트보다 속도를 겨냥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을 살려달라’는 구호는 절박하면서도 공격적입니다.
그 말이 향한 곳은 정부가 아니라, 화면 너머 시청자들이었습니다.
후지산 앞의 피켓은 거리의 메시지가 아니라, 여론을 흔드는 표적이었습니다.
앞서 전 씨는 지난 8월 25일 출국 이후 미국에 머물러 왔고 “망명 제안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15일 일본으로 입국해 이틀 뒤 호주행 비행기에 올랐습니다.
행선지는 바뀌었지만, 외치는 구호는 한결 같았고, 미국에서 시작된 메시지는 일본을 거쳐 호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