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제주가 선택한 길 ④ / 균형적인 일자리 정책 필요
민선 7기 도정이 풀어야 할 현안 과제를 점검하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일자리 문제를 짚어봤는데, 원희룡 지사의 비전과 되짚어봐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이효형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원희룡 지사의 지난 지방선거 전략은 시작도 끝도 청년이었습니다.
도지사 후보로써 발표한 1, 2, 3호 공약도 모두 청년 일자리 정책일 정도로 공을 들였습니다.
공공분야 청년 일자리 1만개 창출이 대표적입니다.
실현 가능성 논란이 일고 있지만 원 지사는 강력한 추진 의지를 보였습니다.
원희룡 / 도지사 예비후보 당시
"차기 도정 4년 임기 동안 공무원 등 공공부문에 정규직 일자리를 1만명 확충하여 제주의 청년들이 제주에서 원하는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와 관련한 공약은 찾기가 어렵습니다.
해고된 후 160일 넘게 투쟁을 이어가는 한라산 후생복지회의 경우 선거기간에는 당선 여부와 관계 없이 공무직 채용을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체불임금 등에 대한 합의가 안 돼 법원에 조정신청이 들어간 상태입니다.
정규직 전환 대상을 두고 지난해부터 논란이 일었던 환경미화노동자들 역시 심의 대상까지는 어렵게 포함됐지만, 아직까지 이렇다할 소식 없이 이달 말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습니다.
오한정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제주본부 조직국장
"거의 희망고문 당하고 있는 상태죠. 그리고 가면 갈 수록 그 희망이 기만이었고 위선이었다.. 이런 것들을 피부로 느끼고 있는 상황이죠"
원 도정이 풀어야 할 가장 큰 과제인 도민 화합은 일자리 정책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강수영 / 제주 중장년 일자리 희상센터 소장
"일자리 창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고용유지와 고용의 질을 높이는 쪽으로 정책들이 가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심각한 불균형을 안고 있는 원 지사의 일자리 공약이 민선7기에서는 어떤 정책으로 실현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JIBS 이효형입니다.
이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