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발굴 기본계획 재정비 필요
제주 4.3 71주년 기획순섭니다.
JIBS는 이 시간을 통해 지난 1970년대 무연묘 이장 작업 당시 4.3 유해로 추정되는 유해들이 다른 지역으로 옮겨졌을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전해드렸습니다.
물론 당시 작업을 했던 인부나 주변인들의 증언을 통해서입니다.
비록 증언이긴 하지만 취재 과정서
수십기의 무연묘들을 찾아냈습니다.
이 무연묘들이 4.3 희생자와의
연관성에 저희 취재진은 주목하고
있습니다.
후속 대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제주시내 한 숲 속에서 발견된 무연묘 30여기.
지난 1970년대 각 마을별로 산재된 무연묘들을 어승생 무연묘지로 옮기는 과정에 이장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무연묘 이장 과정에 발견된 4.3 추정 유해를 제주시가 처리했다는 증언까지 나오면서 이 무연묘의 실체에 의구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4.3 유해와 무연묘 간의 연관성은 그동안 조사 과정에서도 누락됐던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장윤식 제주4.3 평화재단 총무팀장
"(10년전) 제주시청 문서고에 가서 예전 문서들을 많이 뒤졌습니다. 70년대 관련 문서들을 뒤졌는데, 확실한 자료를 찾지 못해서 그 부분이 아쉽습니다"
지난 2005년 나온 4.3 유해발굴 기본 계획보고섭니다.
4.3 당시 피해가 컸던 화북지역과 제주국제공항에 초점을 맞춰 조사가 진행됐습니다.
하지만 4.3 당시 도내 마을별로 산재된 수많은 학살터와 4.3 유해 이장 가능성 등에 대한 조사는 손도 대지 못했습니다.
용역 시작부터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8개월 밖에 되지 않아 조사 시간과 예산이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유해 발굴 기본 계획 자체를 재정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고성만 제주대학교 교수
"유해발굴을 중심으로, 또는 무연묘를 중심으로, 행방불명자의 사체의 행방을 중심으로 한 증언조사나 현장조사, 유적지 조사를 다시 새로운 관점에서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행방불명자의 명예회복과 진상 규명의 첫 단추인 4.3 유해 발굴은 증언 확보가 핵심이지만,
실제 4.3을 목격하고 경험한 1세대는 70년의 넘는 세월 속에 점차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가 JIBS가 확인한 무연묘와 관련 증언에 대해 추가 조사를 검토중인 가운데, 실제 조사와 유해 발굴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김동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