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지질주상도 제각각 '관리엉망'
제주 지하수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선 땅 속 지하 지질을 우선 알아야 합니다.
지하수 함양지역과 오염 경로를 해석하는데 지질 구조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지하수 관정 공사를 할 때마다 지질 구조를 기록하도록 돼 있지만, 어찌된 일인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지하수 수질 관측망 관정을 만들기 위한 커다란 굴착 장비가 땅을 뚫고 들어갑니다.
지하 280여 미터 지점에서 나온 커다란 돌들이 쏟아집니다.
이런 시추 암석들을 토대로 깊이에 따라 제주의 지질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지질주상도가 만들어 집니다.
"현재 지하 상태가 어떤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하수 쪽으로는 대수층의 발달 유무 등이 파악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런 자료가 축적돼야 나중에 사업을 할 때도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조례상 지하수 관정 공사를 위해선 의무적으로 지질주상도를 작성해 제주자치도에 보고해야 합니다.
지질주상도만 종합하면 제주의 전체적인 지층 구조를 해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질주상도는 이처럼 땅 속 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기초 자료지만, 아직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질주상도가 공사 현장이나 연도별 시기마다 제각각 만들어져 통일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한 기관이 작성한 지하수 관정 지질주상도를 보면 표준 지질주상도와 암석 이름부터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4천8백여개인 도내 지하수 관정에 대한 지질주상도는 그동안 수천개가 만들어졌지만,
제주의 지질 구조를 파악하는데 아무런 활용을 할 수 없다는 겁니다.
"경험에 따라서, 시방서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온 지질주상도이기 때문에 각각의 해석이나 각각의 기재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접한 시추공 끼리라도 서로 암상을 대조하기 힘들고..."
제주 지하수 오염과 유동 분석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지질 구조 파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제주 지하수 관리는 여전히 헛 구호에 그치고 있습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김동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