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유원지, 상임위 문턱 넘었다
(앵커)
경관 사유화 문제와 중국계 자본 투자 논란이 일어온 이호유원지 개발사업에 속도가 붙게 됐습니다.
도의회 상임위원회인 환경도시위원회가 경관 문제가 제기되는 만큼 한층 낮추는 것을 부대 의견으로 달아 동의안을 원안 가결했습니다.
신윤경 기잡니다.
(리포트)
중국계 기업인 분마이호랜드는 이호유원지 23만 제곱미터 일대에
높이 8층, 1천실 규모의 호텔과 2백여실 규모의 콘도 등 숙박시설을 지을 계획입니다.
지난 2009년 사업자가 분마로 바뀐 이후 경관과 교통 영향평가,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친 상탭니다.
도의회가 이호유원지 환경영향경가 동의안에 대한 심사를 진행했습니다.
지난달 사업부지를 방문했던 도의원들은 경관 사유화 우려는 여전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강성의/더불어민주당 도의원
"경관을 사유화하지 못하도록 제주도민분들은 이호 유원지를 지금까지 사용했던 것 만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상수원인 월산 정수장 이용률이 90%에 육박하고, 도두 하수처리장의 현대화도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상하수도 이용에 처리난을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이상봉/더불어민주당 도의원
"과포화된 상태에서는 법상으로는 하지 못하지만 특단의 조치가, 개발을 쉬는 휴식년을 해야 할 때라고 보는 겁니다."
사업자는 도민 사회의 우려를 감안해 제주도와 경관 협정을 체결하는 등 후속조치에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종록/이호분마랜드 사장
"제주도민의 눈높이에 맞는 사업을 운영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습니다."
도의회는 경관 사유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호텔과 콘도 층수를 한층 낮추고, 경관 협정 체결과 함께
카지노를 설치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동의안을 원안 가결했습니다.
강성민/더불어민주당 도의원
"지역주민과의 상생협약을 마련해 추진할 것, 관련부서가 주도하여 경관협정을 체결해 추진할 것"
동의안이 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사실상 도지사 동의 절차만 남게 되는 가운데
제주도는 부대 의견에 대한 세부 추진 계획을 사업자에게 확인할 계획입니다.
사업자측은 경관 협의에 대해서는 적극 협조하겠다고 했지만, 층수를 한층 낮추는 조건에 대해서는 부담을 느끼고 있어서,
얼마나 경관 사유화 논란을 해소할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JIBS 신윤경입니다.
-영상취재 부현일
신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