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선 경유 차단 한계...해외 입국자 검사 확대
(앵커)
정부가 오늘(19)부터 국내로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들에 대한 특별 입국 절차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입국 이후, 다시 국내선을 타고 제주로 들어올 경우에 대비한 대책은 부족하기만 합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국제선 입국자들은 전원 특별 입국 절차를 거치도록 차단 방역이 강화됐습니다.
해외 오염원 유입을 막는 효과가 기대됩니다.
문제는 질병관리본부 지침보다 높은 수준의 차단 방역을 해 왔던 제줍니다.
국내선엔 국제선 같은 차단 방역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19 잠복기에 입국한 사람이 다시 국내선을 타고 제주로 들어올 경우, 차단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국내선에선 해외를 방문했던 이력이 있는지 여부도 사전에 파악할 수 없습니다.
원희룡 제주자치도지사
(싱크)-(자막)-"해외여행 경력자들이 국내선을 통해서 제주 공항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특히 새롭게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에대한 특별지원 대책을 수립해서..."
질병관리본부가 해외 체류 이력이 있는 사람들을 각 지자체로 통보하겠다고 밝혔지만,
언제, 어떤 방식이 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제주자치도 관계자
(싱크)-(자막)-"(특별입국절차가) 전체 국가로 확대됐어요. 명단이 각 지자체로 넘어올거죠. 그건 시간이 걸린다, 안 걸린다 지금 대답할 수는 없는거죠"
게다가 제주자치도가 정부에 모든 국내 공항에서 기초적인 발열 검사하자고 제안했지만 아직 진척이 없습니다.
현재 감염병 예방법에는 지자체장이 공항에도 발열 감지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돼 있지만,
항공보안법에는 공항 운영자의 별도 출입 허가가 필요해 설치 주체와 운영을 두고 조율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에따라 제주자치도가 유럽 등 해외 방문자 가운데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코로나 19 검사를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대구와 경북 방문자로 국한됐던 검사 대상을 확대해,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모두 검사하겠다는 겁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최근 전국적으로 해외 입국 감염 문제가 차단 방역의 변수로 떠오른 상황에서, 해외 감염원 유입을 막는 보다 세밀한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김동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