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공급 중단 파장 확산...BCT 파업 한달 넘어
(앵커)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 BCT 노조 파업이 한 달이 지났습니다.
제주도내 모든 공사현장이 중단되면서 일용직을 비롯한 건설업계 종사들까지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조창범 기잡니다.
(리포트)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 BCT 노조 파업이 한달을 넘어섰습니다.
올해 처음 시행된 안전운임제 때문입니다.
국토교통부가 BCT기사들의 안전과 급여를 보장해준다며 시행했지만, 제주 BCT기사들의 수입은 더 줄어버렸습니다.
안전운임제는 총 톤수와 거리에 따라 운임이 정해지는데, 운송거리가 짧은 제주 BCT 기사들에겐 이전보다 손해를 보는 구좁니다.
최상우 민노총 제주 BCT지회장
(인터뷰)-자막"자기네(시멘트회사)가 뽑아본 바로는 (기존 수익보다) 30% 떨어졌다, 인정한다. 하지만 우리가 피부로 와 닿을 때는 50~60% 떨어진 것으로 보이거든요. 그래서 도저히 운행이 불가 상태입니다, 지금."
파업 장기화 여파는 심각합니다.
제주건설협회 회원사 가운데 15개 업체가 진행하던 28개 현장의 공사가 중단됐습니다.
하청업체, 소방과 전기 업체까지 쉬고 있습니다.
건설 일용직은 일감이 없이 생계 위협까지 받고 있습니다.
고규진 대한건설협회 제주자치도회 사무처장
(인터뷰)-자막"하도급자, 그리고 연관 자재업자, 일용근로자 등 모든 관련 종사자, 연관 업계 자체가 어려움이 있습니다."
관급공사도 마찬가지 상황입니다.
제주자치도 본청이 발주한 공사 가운데 11건이 중지됐습니다.
제주시 발주 공사 39건, 서귀포시 발종사도 26건도 모든 공정이 중단됐습니다.
읍면동사무소와 각급 자생단체, 공기업이 발주한 공사들까지 포함하면 공사 중단 현장은 파악 조차 힘든 상황입니다.
제주상황이 심각한데도 안전운임제를 도입하고 안전운임위원회를 운영하는 국토교통부는 나몰라라 하고 있습니다.
시멘트 공급 중단이 제주에서만 벌어지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안전운임제는 일종의 최저임금제기 때문에 해당지역 시멘트업체와 bct기사 등 주체들이 협의해 결정할 사안이라는며 완전히 발을 뺀 상탭니다.
중재에 나서야 할 제주자치도는 권한이 없다며 국토교통부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습니다.
BCT 노조와 시멘트 업체간 협상마저 진척이 없어, 제주 건설업계만 속앓이가 깊어지고 있습니다.
JIBS 조창범입니다.
조창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