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스말로그 학교"
(앵커)
코로나19 사태로 제주형 자율학교 같은 차별화됐던 제주 공교육 시스템이 사실상 붕괴돼 버렸습니다.
제주 교육의 장점이던 끼를 살리는 예체능 인성 교육도 사실상 중단돼 버렸습니다.
코로나 19가 종식된 이후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제주 교육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할지 논의가 시작됐습니다.
안수경 기잡니다.
(리포트)
지난 4월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이 이뤄졌습니다.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등교 개학이 계속 미뤄졌기 떄문입니다.
모든 학생이 가정에서 원격 수업을 받아야 했습니다.
급격한 변화 속에 온라인 학습 약자도 발생했습니다.
취약계층 자녀와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 장애 학생 등으로, 사실상 온라인 수업 참여가 어려웠습니다.
부공남 제주자치도의회 교육의원
(인터뷰)-(자막)"인프라 구축이 덜 됐다. 가정에서도 덜 되었고. (특히) 저소득층, 다자녀가정, 특수학생 가정이라든가 이런 쪽에 세밀히 배려를 해야 하겠다는..."
코로나 19 이후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는 어떻게 변하게 될까?
원격 수업과 등교 수업이 병행될 것이란 의견이 많습니다.
때문에 스말로그 학교가 새로운 학교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스마트와 아날로그의 결합으로, 오프라인 수업을 운영하면서 온라인 플랫폼을 최대한 활용하는 교수법입니다.
이를 위해 학생의 온라인 학습 능력과 교사의 온라인 교습 역량을 동시에 강화하고, 온라인 학습 약자엔 학습 도우미도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박남기 한국교육행정학회장
(싱크)-(자막)"치료제가 개발되지 않는 한 2학기때도 지금처럼 등교와 온라인이 반복될거에요. 그렇다면 그때를 대비해서 교사들 중에도 디지털 외계인이 있고, 디지털 이주민이 있어요. 이 분들을 디지털 원주민 수준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제주만의 차별화됐던 공교육 시스템 자체를 뒤흔들어 버린 상탭니다.
온라인 학습 능력에 따라 학력 격차가 벌어지고, 예체능 같은 인성 교육도 대폭 축소됐습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코로나 19가 장기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만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제주형 교육 전략이 서둘러 논의되고 마련돼야 할 것입니다.
JIBS 안수경입니다.
안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