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24] JIBS 8 뉴스
대체수자원 저수지..."활용도 높여야"
대체수자원 저수지..."활용도 높여야"
(앵커)
제주지역 농업용수의 96% 이상은 지하수로 쓰일 정도로 지하수 의존도가 높습니다.

지하수 사용량을 줄이고 비상시에 대비하기 위해 농어촌공사에서 9곳의 저수지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농업용수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해 보완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지난 1960년 완공된 수산저수지입니다.

72만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곳이지만, 웬일인지 물 없이 밑바닥이 드러나 있습니다.

물이 가득했던 모습과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60여년만에 처음으로 물을 모두 빼내고 노후 저수지 보강 공사를 하고 있는 겁니다.

이번 보강 공사에서 가장 주목되는건 농업 용수로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입니다.

저수지 하부에 있던 취수 관로가 밀려드는 토사에 막히면서 그동안 농업용수로 공급된 적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이창환 /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장
"큰 보탬은 안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을 뽑아낼 수 있는 곳이 없어서, 급수대가 없으니까 그런 부분이 많이 아쉽습니다"

문제는 이처럼 농업용수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저수지가 한둘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지난 2016년 준공된 성읍저수지는 6백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125만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하루 평균 용수 사용량은 790톤 수준에 그쳐 공급 가능량의 3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자
"이곳 성읍저수지는 제주에서 가장 규모가 크지만, 활용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나다"

농민들은 지역 농작물 특성에 맞지 않고, 관로 연결 구간 역시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지역 농민
"대부분 무 농사를 하는데, 몇 만평씩 해요. 물을 길어다가 밭에 뿌려야 하는데 한통 가져가 봐야 한 100평쯤, 안쪽에는 관정도 들어가지 않고..."

게다가 일부 저수지는 오염물질 유입으로 녹조 발생까지 심해져 좀처럼 활용도를 높이지 못하고 있습니다.

송원효 /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 기반사업부 차장
"지하수 사용을 억제하고 지표수나 용천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관로를 추가 구축한다던지, 수질 관리에 만전을 기하면서..."

도내 9곳의 저수지에는 농업용 지하수 하루 시설 용량의 5배 가량이나 되는 399만4천톤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제주자치도가 앞으로 대체수자원 비중을 현재 3.5%에서 20%로 확대할 방침이지만,

수백억원을 들여 설치한 저수지 활용도를 높이지 않는 이상 헛구호에 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제주방송 김동은(kdeun2000@hanmail.net) 윤인수(kyuros@jibs.co.kr) 기자
제주 해수욕장 4년 만에 조기 개장
제주 해수욕장 4년 만에 조기 개장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중단됐던 도내 해수욕장 조기 개장이 올해부터 다시 시작됩니다.

4년 만에 일부 해수욕장이 조기 개장하고, 야간 운영할 예정입니다.

안수경 기잡니다.

(리포트)
상쾌한 바닷바람을 맞으며 해변을 산책합니다.

아직 정식 개장은 하지 않았지만, 바닷물에 발을 담그고 때이른 물놀이도 즐깁니다.

유지호·유종근 / 경기도 남양주시
"직장다니면서 좀 답답했는데, 여행와서 좀 휴식을 많이 즐겨서 마음도 뻥 뚫리고."

지난해 제주지역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은 130만 명.

코로나19 여파로 2천21년엔 15년 만에 이용객이 100만 명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으로 250만 명이 찾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안수경 기자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도내 일부 해수욕장들은 예정보다 빨리 해수욕장을 개장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능과 협재, 곽지, 함덕, 이호테우 해수욕장 5곳이 다음달 24일 조기 개장합니다.

이호테우와 삼양해수욕장은 개장 시간을 한시간 연장해 밤 8시까지 야간 운영합니다.

나머지 해수욕장 7곳은 오는 7월 1일 일제히 개장합니다.

김종수 / 제주자치도 해양산업과장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서 (안전요원을) 배치를 완료할 것이고. 야간개장과 조기개장은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서 하게 된 겁니다. 이를 통해서 우리 지역경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코로나19 이후 첫 조기 개장과 야간 개장으로 이용객이 더 늘 것으로 보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시설 점검과 함께 안전 인력을 확보해 배치할 계획입니다.

JIBS 안수경입니다.

영상취재 오일령
제주방송 안수경 (skan01@jibs.co.kr) 오일령(reyong510@naver.com)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