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멘 난민 해법 찾아야
오늘(20)은 유엔이 난민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지정한 세계 난민의 날입니다.
최근 제주의 예멘 난민 문제가 전국적으로 사회적인 이슈가 되면서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어떤 해법이 필요할까요?
김동은 기잡니다.
올들어 제주에서 난민으로 신청한 예멘인은 549명에 이릅니다.
예멘 난민 신청자
"저희 나라가 여러가지 문제점이 많아서 일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한국에 왔기 때문에 한국에서 열심히 일을 해서 고국에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특정 국가 외국인이 무더기로 난민을 신청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무더기 난민 신청이 충분히 예고됐지만, 행정당국의 대응은 허술했습니다.
난민 관리 방안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 발표가 늦어지다보니 도민 불안만 부추겼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윤상은 제주시 화북동
"제가 도청에 문의했을 때, 아 모르겠네요. 제가 출입국사무소에 물어보겠습니다. 이런 식으로 하다보니까 제주도민들이 계속 불신이 생기는 거예요"
그 사이 난민 문제에 대한 전국적인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난민수용을 거부하고 무사증 제도를 폐지해 달라는 청와대 국민 청원에는 30만명 넘게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이 향 제주난민대책도민연대 사무국장
"난민이 정말 인정된거라면 받아들여야 겠죠. 그렇지만 이렇게 단체적으로, 집단적으로, 제3국을 통해서 경유해서 오는 난민들을 무작위로 받아들여야 하는건 난민법에 허점들이 많기 때문에..."
난민 문제를 무차별적인 혐오와 불안의 대상으로 몰아가선 안된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적지 않은 지역주민들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예멘인들에 대한 지원에 참여하고 있기도 합니다.
신강협 제주평화인권연구소 왓 소장
"따지지도 않고 무서운 사람들이야, 범죄자야 이렇게 하면 우리가 어느 누구와 국제사회에서 교류하겠습니까? 이건 우리 사회가 국제적인 다양성을 확보하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주를 찾는 난민이 늘고 있는 만큼, 이 문제에 대한 공개적인 논의와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최낙영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장
"정치적, 경제적인 자유를 빼앗기고 분쟁으로 갈 곳을 잃은 사람들인데 사실 이분들에 대해 혐오 표현이 SNS에 난무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스럽게 생각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난민 문제에 현황 파악을 지시하고, 정부가 조만간 정책 기조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우리 사회의 난민 수용 능력과 의식을 되돌아봐야 할 시점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김동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