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 배관 ... 연결 구간마다 하수 '역류'
제주신화역사공원 개장 이후, 하수배관 구간에 있는 마을에서 하수가 역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대정읍 지역 하수관에 대한 대대적인 재정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하수가 맨홀 위로 솟구칩니다.
최근들어 큰 비만 오면 맨홀 뚜껑까지 빠질 정도로 많은 양이 역류됐습니다.
이 맨홀은 신화역사공원에서 나온 하수가 지나는 지점입니다.
주민들은 신화역사공원이 개장한 1년전쯤부터 역류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장용 대정읍 보성리장
"신화월드 개장하기 전에는 이런 일이 전혀 없었어요. 아무리 비가 많이 오고, 폭우가 쏟아져도 이런일이 없었는데, 신화월드 개장이 지난해 했잖습니까, 개장 이후에 이런 현상이 계속 나버리니까..."
신화역사공원에서 발생된 하수는 서광서리 등 5개 마을 연결 구간을 거쳐 대정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는데,
구억리를 뺀 전 구간에서 역류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주먹구구식으로 매설된 하수관 직경도 문젭니다.
신화역사공원에 매설된 하수관은 직경이 3백밀리미터지만, 일부 이송 구간은 직경이 250밀리미터로 오히려 더 작습니다.
신화역사공원 사업 이전에 매설된 작은 하수관에 큰 하수관을 연결시킨 겁니다.
하수 배관 전문가
"그건 좀 문제 아닌가요? 하류 쪽으로 내려가면서는 계속 관경이 커져야줘, 작아지는건 문제가 있죠"
서귀포시는 점검을 강화하고 있지만, 정확한 상황 파악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손택곤 서귀포시 상하수도과 주무관
"내려오는건 300mm (하수관이) 내려옵니다. 내려오면서 일부분이 250mm 관으로 매설된 것으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 부분에 대해 개선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 일대 발생하는 하수량과 하수관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양성기 제주대학교 교수
"계획 하수량을 이렇게 휠씬 초과하는 양이 일시에 나올지 미처 예측하지 못했다던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하나씩 체크되고 그대로 진행됐어야 하는데 뭔가 계획이 순조롭게 이뤄지지 않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요"
신화월드 하수량 예측 오류에서부터 시작된 문제가 대정읍 전체로 번지면서 대정읍 5개 마을회에선 조만간 대책 회의를 통해 공동 대응에 나설 방침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김동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