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美군정 책임 규명 과제
제주 4.3이 안고 있는 수많은 과제 가운데 핵심은 당시 미군정의 책임을 규명하는 일입니다.
당시 무차별적인 학살을 방조했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지만, 미국의 책임을 촉구하기에는 여전히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4.3의 미국 책임을 촉구하는 서명이 주한미국 대사관에 전달됩니다.
이 서명에는 10만여명이 동참했습니다.
제주 4.3의 비극의 핵심에 미군정이 있고, 미국이 이에 대한 책임있는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미군의 책임을 규명하기 위해선 노근리 학살 사건처럼 관련 증거 확보가 핵심입니다.
수면 밑에 뭍혀 있던 노근리 사건의 진상은 AP통신의 탐사보도등으로 1999년부터 진상이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2001년엔 여론의 부담을 느낀 미국의 유감 표명을 하기도 했습니다.
정구도 노근리국제평화재단 이사장
"국가대 국가의 책임 문제, 진상 규명 문제는 말로 되는 것이 아니고, 증거가 확보돼야 하거든요. 증거가 확보된 이후에는 여론이 환기돼야 합니다. 그 실상을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 더 많이 알리는게 (중요합니다)"
노근리 사건에 비해 제주 4.3은 여전히 갈 길이 먼 상황입니다.
4.3 진상조사는 15년전 멈춰 더 이상 추가 연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연구기관과 언론, 시민사회단체의 조직적인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한 이윱니다.
양정심 제주 4.3 평화재단 조사연구실장
"맥아더 사령부라 불리는 극동군사령부, 또는 미국국가안전보장회의나 상위 그룹의 문서들을 더 보강해야 하구요. 미국 뿐만 아니라 다른지역의 문서들도 보강해서 조금 더 그림을 크게 그릴 필요가 있습니다"
내년 상반기 유엔 과거사 특별보고관을 한국에 비공식 초정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미국 추가 진상조사가 시작될 예정이라, 4.3의 미군 책임을 규명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김동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