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자리 마련됐지만...
(앵커)
한달 넘게 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 BCT 노조와 시멘트회사간 협상의 자리가 만들어 졌습니다.
어렵게 협상은 하게 됐지만, 레미콘 공급 중단 사태가 당장 풀리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런 갈등이 또 발생하지 않으려면, 제주에 맞도록 법을 서둘러 바꿔야만 합니다.
조창범 기잡니다.
(리포트)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 BCT 노조 파업에 새로운 국면이 마련됐습니다.
파업이후 시멘트업계와 BCT 노조는 공식 대화를 나눠본 적이 없습니다.
화주인 시멘트 회사들은 운수사업자와 계약을 맺고, 운수사업자는 다시 화물차주, BCT 근로자와 계약을 맺는 구조로 돼 있습니다.
시멘트회사는 BCT 근로자와 직접 계약이 아니어서 대화 당사자가 아니라는 입장을 보여 왔습니다.
또 교섭은 개별사가 아닌 안전운임위원회에 참여하는 상위단체간에 이뤄져야 한다는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시멘트 업계와 BCT 노조 등이 참여하는 대화의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시멘트업계가 제주 BCT 근로자들의 실상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서로간의 입장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오임수 제주자치도 교통정책과장
(인터뷰)-자막"조금만 더 대화를 가지면 (타협이) 될 것으로 보고, 이것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 운송료에 대한 분석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운송료 현실화와 파업 기간 중 운임에 대한 소급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협상이 진행되고 타결이 되더라도 근본적인 문제는 바뀌지 않습니다.
우선 화주와 운수사업자, 화물차주로 이어지는 다단계 계약을 화주와 화물차주 직접계약으로 바꾸는 제도개선이 필요합니다.
또 국토교통부가 갖고 있는 운임 결정 권한을 이관 받아 버스나 택시요금처럼 제주에서 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박연수 민주노총 화물연대본부 정책국장
(인터뷰)-자막"장기적으로 안전운임이 시장의 질서가 되고 안착이 된다면 실제로 안전운임이 조금 더 지역별 특성을 반영해서 지역적인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어렵게 BCT 노조 파업 해결의 단초가 마련된만큼 양측이 서로의 입장차를 이해하고 좁히려는 대승적 차원의 대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JIBS 조창범입니다.
조창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