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협력센터 정체성까지 부정
(앵커)
소통없는 소통협력센터 기획순서 마지막입니다.
행정안전부가 선정한 소통협력공간 운영을 위해 제주자치도와 제주시는 조례까지 만들어 명칭과 역할을 규정했습니다.
제주자치도의회는 60억원에 이르는 건물 매입까지 승인했지만 소통협력센터는 자율성만 강조하면서 위탁기관인 제주시와 조차도 소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창범 기잡니다.
(리포트)
소통협력센터는 별도로 만들어진 조례를 근거로 설립됐고, 운영중입니다.
조례상엔 주민들이 만나는 소통협력공간의 명칭을 소통협력센터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사업 심의와 예산 결산, 자문 역할 등을 하는 운영협의회도 두도록 돼 있습니다.
그런데 소통협력센터가 조례로 규정된 명칭을 바꾸려 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sns와 각종 홍보물에 사용할 명칭을 새로 정한다며 5천여만원의 용역 사업 발주까지 했습니다.
사업을 맡긴 제주시에 보고도 하지 않았고, 당연히 승인 절차도 없었습니다.
뒤늦게 제주시가 조례 위반이라며 중단시켰습니다.
제주시는 사전 협의 없이 명칭을 바꾸려한 것도 문제지만, 5천만원이나 들어가는 사업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제주시청 관계자
(싱크)-자막"도내 디자인업체에 그걸 물어봤습니다. 이정도 과업이면 얼마쯤 하겠느냐, 요새 경제도 어렵고 자기네는 5백만원, 천만원에도 한다, 이런 얘기도 해요, 사실은."
소통협력센터측은 명칭이 너무 딱딱해 주민 접근성이 떨어진다며 애칭을 만들려고 했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민간위탁 사업인만큼 명칭 변경 정도는 자율성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업 평가와 심의 자문을 하는 운영협의회에서조차 소통협력센터측이 막무가내식으로 예산을 집행하고, 사업을 진행시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소통협력공간 운영협의회 위원
(싱크)-자막"위탁 받으니까 자기네 마음대로 하겠다는 생각을 가졌던 것 같아요. 이거는 전문성이고 자율성을 가져서 하는거다 해서, 그렇게 하다보니까, 좀 그런 것이 있지 않느냐..."
영상취재 부현일
소통협력센터의 설립 근거이고 운영 규정인 조례까지 무시되고 있는 상황이라, 소통협력센터를 총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후속 조치가 시급히 요구됩니다.
JIBS 조창범입니다.
조창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