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17] JIBS 8뉴스
제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수산업·해양관광 타격
제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수산업·해양관광 타격
(앵커)
일본 정부가 설마설마 했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결정하면서 제주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당장 바다로 흘러드는 방사능 물질로 수산업이 직격탄을 맞게 되는 것은 물론, 해양관광에도 큰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 기자와 G1 김기태 기자가 연속으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바다에 내보내기로 결정했습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1백2십5만 톤의 오염수가 방류됩니다.

오염수 저장량의 91%가 차 있어 방출을 미룰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설비 공사에 2년 정도가 걸려 실제 방출은 2023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정부는 방사성 물질 삼중수소를 세계보건기구 기준 40분의 1 이하로 희석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김해창 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인터뷰)-(자막)”원래대로 하려면 (삼중수소를) 120년 정도 탱크에 보관한 뒤에 자연 방출을 하면 괜찮은데, 기준치 이하로 방출한다고 하지만 방사성 물질은 축적이 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기준치가 큰 의미가 없죠."

그만큼 유례 없는 방출이 공포에 떨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최한솔 기자(KNN)
"오염수 방류가 시작될 경우 소비심리 하락으로 무엇보다 어민들에게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옥종훈 거제시 시방리어촌계장
(인터뷰)-(자막)”요즘 코로나 때문에도 힘든데 어민들 잡는 고기를 누가 사먹겠습니까. 그리고 고기도 안 잡히는 요즘에 그것(오염수)까지 방류를 하면 우리 어민들 다 죽습니다."

오염수는 제주도까지 한 달이면 도달해 부산.경남에 흘러드는 것은 시간 문제입니다.

박종권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대표
(인터뷰)-(자막)”짧게는 7개월 길게는 1년이면 한반도 앞에까지 오게 돼 있거든요. 그러면 우리 어부들은 어떻게 하라고...일본 어부들도 엄청나게 반발을 하고 있거든요.”

영상취재 하호영(KNN)
부산·경남의 먹거리 전체가 위협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부산시와 경남도 또한 일본의 이같은 결정을 비판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

(좌상단)민방네트워크(강원)

(수퍼)-동해안 6개 시.군 수협 조합장 긴급 대책회의
동해안 6개 시.군 수협 조합장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일본 정부가 원전 오염수 방류를 결정한 것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서입니다.

청정 동해안 수역에 원전 오염수가 유입되면 수산업계의 타격은 불보듯 뻔하다는 입장입니다.

(수퍼)-고병남 강원도 수협조합장협의회장
(인터뷰)-(자막)"고기 자체가 값이 떨어질 것이고, 떨어지다 보면 어민들이 굉장히 지금 안그래도 '코로나19' 때문에 굉장히 어려운 시기인데 또 이것까지 일어나게 된다면 굉장히 충격을 많이 받습니다."

(CG)-인
독일 헬름홀츠 해양연구소에 따르면, 일본이 오염수 방류하면, 북태평양을 돌아

오는 2027년에는 우리 해역에 오염수가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CG)-아웃

(수퍼)-김기태 기자(G1)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해안 어민들은 일본의 일방적인 오염수 방류 소식에 크게 분노하고 있습니다."

(수퍼)-동해안 어민, 원전 오염수 유입 걱정
매일 바다와 싸우며 생업을 이어가는 어민들의 속은 타들어갑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막연한 불안감에 수산물 소비가 위축될 까 근심이 큽니다.

(수퍼)-박권종 어민
(인터뷰)-(자막)"저희들이 대대로 동해안을 깨끗이 지켜왔는데 그로 인해서 조금이라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우리 어민도 죽고 관광객도 죽고 동해안이 앞으로 어떻게 되겠습니까."

도내 곳곳에서도 반발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수퍼)-도의회-정치권-경제계 일제히 일본 정부 규탄
도의회와 도 시군의회의장협의회, 강원경제인연합회 등도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결정이라며 오염수 방류 결정을 맹비난하고 나섰습니다.

(수퍼)-곽도영 강원도의회 의장
(인터뷰)-(자막)"인류에 대한 죄악이자 테러이며, 일본 정부가 책임져야할 독성 오염수를 전 세계에 떠넘기는 야만적인 범죄행위이다."

(수퍼)-영상취재 신현걸 이락춘 원종찬(G1)
강원도는 해양수산부 등과 연계해 강력 대응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일본의 폭주를 막을 방법은 사실상 없는 상황이어서 불안감 확산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G1뉴스 김기태입니다.
하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