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25] JIBS 8뉴스
제주,무더기 확진은 없었지만...확진자 발생률 전국 최고
제주,무더기 확진은 없었지만...확진자 발생률 전국 최고

(앵커)
제주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 진단검사에서 가장 우려됐던 무더기 확진 상황은 다행히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 이 제주시 대형마트 이용자 가운데 5명이 확진됐지만, 집단감염과의 연관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확진자가 소폭 감소 추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이대로라면 거리두기 단계 하향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끝이 보이지 않을 만큼, 긴 줄이 늘어섰던 보건소 선별진료소.

대부분 제주시 대형마트 동선 공개에 따라 검사를 받으려 몰린 시민들입니다.


하루 검사건수만 9천6백여건으로, 역대 하루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대형마트 관련 검사는 60% 이상인 5천8백여건이나 됐습니다.

대형마트를 다녀온 검사자 가운데 확진자는 5명에 그쳤습니다.



그것도 대형마트에서 감염된게 아니라, 지역 내 다른 감염원을 통해 전파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형마트내 기존 확진자들과 접촉이 없었고 동선도 겹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김미야 제주자치도 역학조사관
"역학적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습니다. 감염경로 확인중으로 분류하고 추가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형마트 동선이 공개된 지난 17일부터 나흘간 안심코드 등록 기록이 1만2천여건에 이르고,

수기명부까지 포함하면 실제 이용객들이 휠씬 많을 것으로 추산돼 아직 안심하긴 이릅니다.


대형마트 관련 확진자는 직원 1명이 추가돼 누적 확진자는 22명으로 늘었습니다.

(자료:제주자치도)(25일 0시 기준)
코로나 19 확산세는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확진자가 38.4명으로, 전주보다 소폭 누그러들었습니다.

감염 재생산지수도 1.8에서 0.8로 겨우 유행 확산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적용 이후 나타나는 효과로 볼 수 있지만,

(자료:질병관리청)
여전히 제주지역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은 5.6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습니다.

영상취재 고승한
정부가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다음달 5일까지 연장했고, 현재 제주 코로나 19 확산 추세로 볼때 제주에서도 거리두기 4단게는 적용 기간이 연장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김동은(kdeun2000@hanmail.net) 기자
제주, '공개공지' 멋대로 사용
제주, '공개공지' 멋대로 사용

(앵커)
대형 마트나 다중이용시설에는 일반인도 사용 가능한 일정 규모 이상의 공개공지를 갖춰야 합니다.

그런데 70% 가량이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창범 기잡니다.
---
(리포트)
제주시내 한 대형 다중이용시설입니다.

연면적 5천제곱미터가 넘기 때문에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부지 일부를 공개공지로 조성해야 합니다.

하지만 도면상 공개공지는 주차장으로 사용중입니다.

설계도면과 준공 당시엔 공개공지가 있었는데 슬그머니 주차장으로 바뀐 겁니다.

건물 관계자는 관리가 어려워 어쩔수 없었다고 하소연합니다.

건물 관계자
"오만 불특정 다수인들이 와가지고 좌판 벌리고 술마시고 쓰레기 버리고 마스크 버리고, 술 먹다가 술 취한 사람 와서 대.소변 보는 것은 기본이고, 담배꽁초는 고마운 겁니다."


또 다른 대형 다중이용시설 입니다.

이 건물 공개공지엔 소형 컨테이너가 설치돼 경비실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창범 기자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의 대형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일반인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개공지를 조성해야 하지만 이를 위반한 건축물들이 무더기 적발됐습니다."


제주시 조사결과 75개 건물 가운데 적정 판정을 받은 건물은 22곳 뿐입니다.

편의시설이 없거나 불량한 곳은 48곳, 주차장이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5곳이나 됐습니다.


제주시는 적발 건물에 대해 올해말까지 원상복구 하도록 했습니다.

김태헌 제주시 건축과장
(인터뷰)-"타용도로 쓰는 부분에 대해서는 건축법령에 따라서 시정조치가 안되면 이행강제금 부과라든가 행정조치를 통해서 원상복구해서 시민들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영상취재 고승한
제주시는 공개 공지가 제대로 활용되는 건물엔 시설보수 비용 지원을 검토하는 등 도심 속 휴게공간 확보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JIBS 조창범입니다.

조창범(cbcho@jibs.co.kr) 기자
제주, 경찰 징계 '제식구 감싸기' 여전...6명 회식하다 폭행까지
제주, 경찰 징계 '제식구 감싸기' 여전...6명 회식하다 폭행까지
(앵커)
지난 3월 한 경찰 간부가 직원 5명을 소집해 방역 수칙을 위반한 데 더해 술자리에서 손님을 폭행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최근 해당 경찰에 대한 징계가 나왔는데 단순 '견책'에 그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연선 기잡니다.

(리포트)
남성 두 명이 몸싸움을 벌이며 식당 밖으로 나옵니다.

옆에서 일행들이 말려도 서로 멱살을 잡으며 싸움은 수 분간 이어집니다.


싸움을 벌인 남성 중 한 명은 제주동부경찰서 소속 현직 경찰 간부인 39살 A경정.

당시 동료들과 식사를 하다가 다른 손님과 시비가 붙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몸싸움 전, 동료 다섯 명까지 모두 6명이 회식을 해 방역수칙까지 위반했습니다.

이달 초, A경정에 대한 경찰청 징계위원회 결과가 뒤늦게 나왔습니다.


방역수칙을 위반하고 시민과 폭행에 휘말리기까지 했지만 가장 수위가 낮은 '견책' 처분이 나왔습니다.


회식 자리에 참석한 나머지 경찰 5명에 대해선 징계위원회 조차 열리지 않았고 단순 '직권경고'에 그쳤습니다.


경찰은 단순한 방역 수칙 위반이었기 때문에 징계 처분까지 가진 않았고,

시민 폭행 건도 타 지역의 징계 사례를 고려해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홍영철/제주참여환경연대 대표
"시민들한테는 방역수칙을 강조하면서 경찰이 솔선수범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겼다는 건 경찰이 수치스러운 일이고 시민들로부터 신뢰를 잃는 그런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합니다."

지난 3월엔 성매매 혐의로 벌금형을 받았던 서귀포경찰서 소속 37살 B경장이 '정직' 처분을 받았고,

영상취재 강명철
수차례 불법 성매매에도 경찰 신분이 유지돼 논란이 됐습니다.


최근 5년간 비위 행위에 휘말려 징계를 받은 제주 경찰은 모두 48명.

하지만 이들 중 67퍼센트가 견책이나 감봉 등 경징계에서 그쳤습니다.

그나마도 소청이나 행정소송으로 징계가 취소되거나 감경된 사례도 40퍼센트가 넘습니다.


김연선 기자
"시민들의 본보기가 돼야 할 경찰들의 비위 행위가 잇따르고 있지만 정작 징계는 '제 식구 감싸기식'에 그치면서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JIBS 김연선입니다."
김연선(sovivid91@jibs.co.kr)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