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이커머스'로 참조기 판매...온라인으로 판로 개척
(앵커)
요즘 추자도 어민들의 표정이 밝지가 않습니다.
추자도 참조기 어획량은 절반으로 줄었는데도 가격은 떨어지고, 그나마 팔리지도 않아 냉동창고에 재고로 쌓여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새로운 소비 창구를 만들어보겠다며 어민들이 온라인 판매에 나섰습니다.
김지훈 기잡니다.
(리포트)
제주항에서 북서쪽으로 50여 킬로미터 추자돕니다.
섬나들이에 나선 관광객들의 발길은 꾸준한데, 정작 어민들의 표정이 밝지 않습니다.
주력 어종인 참조기 조업이 부진한 탓입니다.
전국 어획량의 70%까지 차지한다는데, 최근 상황은 크게 달라졌습니다.
한번 나가면 많게 10톤까지 잡혔었지만, 요샌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어획량이 줄었다고 잘 팔리는 것도 아닙니다.
코로나 19 여파로 외식이 줄고 중도매 수요까지 급감한데다 참굴비축제마저 열수 없어 재고만 쌓이고 있습니다.
김지훈 기자
"보시는 것처럼 천정높이까지 상자들이 쌓여있습니다.
조업량은 줄었는데 소비마저 살아나지 않아 산지 물량처리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올해 잡은 참조기는 물론, 지난해 이맘때 물량까지 쌓여 있습니다.
더이상 참조기를 보관할 공간이 없어 부산과 나주지역 창고로 보낼 정돕니다.
가격도 하락셉니다.
예년대비 많게 40% 떨어졌습니다.
김태관 추자도수협 유통사업과장
(인터뷰)"어황 부진하고 고기도 작아. 잘 안팔리니 재고는 쌓이는데 소비도 안돼 어려워..."
급기야 어민들이 팔을 걷어부치고 나섰습니다.
코로나 19 이후 언택트 소비확산에 추세아 맞춰 이커머스 시장을 겨냥하고 나섰습니다.
2년째 축제가 취소되며 타격이 컸던만큼, 새로운 판로와 수요층 확대가 필요하다고 봤기 때문입니다.
산지에서 직접 라이브방송과 레시피를 선보이면서 소비자 신뢰와 수요를 끌어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강구 추자도수협 조합장
(인터뷰)"코로나로 인한 소비 부진, 어민 부담 가중돼 온라인시장을 찾아나선 것입니다..."
영상취재 고승한
코로나 19에 급변한 유통환경에 판로난이 심화되면서
비대면 소비 트랜드를 겨냥한 랜선 마케팅이 새로운 판매 창구 역할을 해내고 있습니다.
JIBS 김지훈입니다.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