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첫 '여성 교육의원·부부 도의원' 고의숙 당선인
(앵커)
화제의 도의원 당선인을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최초의 여성 교육의원, 그리고 강경식 전 도의원에 이어 도의회 입성에 성공한 고의숙 제주시 중부 교육의원 당선인 나왔습니다.
(리포트)
Q1. 남편인 강경식 전 도의원의 의정활동을 지켜보시면서 ‘타산지석으로 삼아야겠다’라고 생각을 하신 부분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A1. 남편인 전 강경식 도의원은 8년의 의정활동을 했죠.
8년의 의정활동을 하는 동안 가장 가까이서 지켜본 바로는, 도의원이라는 자리는 상당히 많은 도민들을 만나고 또 많은 현안들을 해결해야 되는 입장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처음에 내가 가졌던 정치의 꿈, 내지는 도민들의 입장을 대변하고자 했던 처음의 마음을 간직하기가 쉽지 않다.
여러가지 흔들리는 요인들이 많을 수 밖에 없다. 그래서 그 속에서 스스로 처음에 가졌던 마음을 잘 세우는 것. 이것이 너무나 중요하다라는 것을 보고 배웠습니다.
Q2. 또 제주지역 최초의 여성 교육의원, 달리 보면 최초이자 마지막 여성 교육의원이 되실 수도 있는데, 어떤 활동을 중점적으로 펼치실 계획이신지요.
A2. 네. 최고이자 마지막일 수 있다는 여성 교육의원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기대가 상당히 큰 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성 교육의원이 어떤 위치에서 보자면 우리 아이들의 삶의 문제, 도민의 삶의 문제를 더 세심하게 직접적으로 챙길 수 있는 위치가 아닌가, 그런 강점을 갖고 있지 않나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지금 당면하고 있는 교육의 현장에서 우리 아이들이 겪고 있는 문제, 그리고 도민들이 교육을 바라보고 있는 실질적인 문제, 이 부분을 직접적으로 챙기고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Q3. 김광수 교육감 당선인은 교육의원 폐지 대안으로 교육청 내에 교육위원회를 설치하는 방안을 언급한 적이 있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3. 교육감 당선인께서 교육위원회에 대한 어떤 입장을 말씀하시고 언급하신 걸로는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교육감 당선인의 어떤 언급에 대해서 가타부타 입장을 말씀드리기는 약간 좀 성급한 면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교육 자치의 문제, 제주 교육의 어떤 도민 주권을 확대하는 문제는 너무나 중요하고 또 중차대한 시대적 과제입니다.
이것은 또 확대해 나가야 될 문제인데요.
당면에서 지금 교육위원 일몰제, 또는 폐지 이것과 관련해서는, 그러면 4년 후에 어떻게 교육 자치를 강화하기 위한 대안을 만들것인가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죠.
그래서 교육감 당선인의 입장을 포함해서 국민들의 충분한 공감대를 얻고 대안을 만드는 데 노력하겠습니다.
Q4. 쉽지 않은 교육의정 활동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이 것 하나만큼 꼭 해야겠다’라고 다짐하신 공약이 있으실 것 같습니다.
A4. 가장 절실한 문제로 제가 보고 있는 부분은 코로나19 이후 교육 회복의 문제, 또 새로운 미래 교육을 열어가는 지금 전환기에 서 있다, 저는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기초학력의 문제, 정서 지원,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과밀학급에서도 너무 산적한 문제들이 많지만 4년의 임기 동안은 누구나 언제든지 이용가능할 수 있는 안전한 돌봄 체제를 만드는 데 주력하겠습니다.
Q5. 너무 이른 감이 있지만 4년 후의 행보는 어떻게 고민하고 계십니까?
A5. 6월 1일 당선이 되고 오늘이 14일이어서 2주가 지났습니다. 7월 1일부터 임기가 시작인데요.
4년의 임기를 아직 시작하지 않은 시점이지만도 준비해야 되고 해야 될 일이 너무나 많습니다.
주어져 있는 4년의 임기 동안 저는 의원으로서의 활동을 최선을 다해서 헌신적으로 할 생각이고요.
제가 걸어왔던 길이 제주교육의 발전과 우리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서 그 시대가 필요한 일에 한 번도 주저해 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4년의 의정활동 이후에 또 필요한 일과 도민이 필요로 하는 일 또 우리 제주교육이 필요로 하는 일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제주방송 조창범(cbcho@jibs.co.kr)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