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쓰레기..."악순환의 시작"
(앵커)
해양 쓰레기 문제는 단순히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육상과 가까운 연안 뿐만 아니라, 먼 바다에서도 해양 생물의 서식처를 빼앗아 생태계를 파괴시키기 때문에 악순환의 시작이라고 불립니다.
하지만 수거 작업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닙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해경과 다이버들이 수중 쓰레기 수거 작업을 위한 준비에 한창입니다.
하나 둘씩 물 속으로 들어갑니다.
바다 밑바닥은 구멍갈파래들로 온통 뒤덮혀 있습니다.
쓰레기들도 파래에 뒤덮히거나 파묻혀 찾아내기도 쉽지 않습니다.
김만철 한국수산자원공단 제주본부 책임연구원
"폐기물들이 (연안에) 오다보니까 뻘에 묻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저희가 다이빙하면서 치우고 있지만 어느정도 한계가 있다보니까 제거 작업하는것도 어려운 것 같습니다"
불판, 킥보드를 비롯해 폐어구까지 쓰레기도 다양합니다.
수거가 어렵다보니, 어장 환경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습니다.
홍표민 화북어촌계장
"엄청 안 좋아졌죠. 해조류도 지금 서귀포 좋은 해역에서도 다 죽어간다고 하고, 여기도 더 나빠지는데...스티로폼은 보이지만, 바다 속에 쓰레기가 많습니다"
김동은 기자
"이처럼 도내 항포구와 해안가에는 폐어구 뿐만 아니라, 각종 생활 쓰레기들로 가득해 연안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제주에서 수거된 해양 폐기물은 지난해 기준 2만톤이 넘을 정도로, 매년 급증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폐기물들이 해안가에서 수거한 양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우리가 알 수 없는 물 속 깊숙히 감춰져 있는 것까지 포함하면 막대한 양이 쌓여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최미경 한국수산자원공단 제주본부장
"그 결과로 생태계가 파괴되는 이런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고요. 이렇게 되면 수산자원이 감소하고, 그럼 어민 소득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고, 그래서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으려면 연안을 깨끗하게 가꾸는..."
화면제공 한국수산자원공단 제주본부
바다로 유입되는 육상 쓰레기와 폐어구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노력과 함께,
해양 쓰레기 실태 조사와 수거, 처리 시스템 개선 등 다각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오일령
제주방송 김동은(kdeun2000@hanmail.net) 오일령(reyong510@naver.com)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