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6] JIBS 8 뉴스
다랑쉬굴 토지 매입 코앞으로
다랑쉬굴 토지 매입 코앞으로
(앵커)
지난 1992년, 유해 11구가 발견되면서 제주4.3의 아픈 역사를 전국에 알리게 했던 다랑쉬굴.

다랑쉬굴과 인근 토지를 제주자치도가 매입해 추모의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이어져왔는데, 해당 절차에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권민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두운 동굴 속 유골들이 흩어져 있습니다.

4·3 당시 토벌대를 피해 다랑쉬굴에 숨어있다 희생된 이들로 발견된 유해는 11구나 됩니다.

44년 동안 깜깜한 동굴 속에 숨어있던 다랑쉬굴의 비극이 세상밖으로 드러나는 순간입니다.

하지만 다랑쉬굴 일대가 사유지였기 때문에, 30여 년의 세월 동안 사실상 방치되다시피 했습니다.

권민지 기자
"4·3 당시의 비극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다랑쉬굴입니다. 이 일대를 매입해서 추모와 역사의 공간으로 만드는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는 다랑쉬굴과 인근 토지 2만5천 제곱미터의 매입 계획안을 도의회에 제출했습니다.

해당 계획안은 이달 말 제408회 임시회에서 상정돼 처리될 예정입니다.

토지 소유주가 교육청과 협의를 마치면 다음달부터 매입 절차가 시작되고, 올해 하반기엔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용역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제주자치도는 이번 토지매입을 위해 특별교부세 7억원과 도비 16억원을 편성했습니다.

매입한 토지 활용을 위해 내년도 예산으로 국비와 지방비 각 5억을 신청했습니다.

김승배 / 제주자치도 특별자치행정국장
"위령시설이라든지 기념비, 안내 체계를 확실히 정비한 다음에 후세대를 위한 교육장소로, 도민들을 위한 4·3을 알리는 계기로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랑쉬굴 유적지 정비사업이 첫 걸음을 떼면서 또 다른 4·3 유적지의 정비 사업에도 탄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허영선 / 제주4·3연구소장
"4·3유적지는 현재 828곳인데요. 상당수가 사유지에 속합니다. 곧 소실될 위기에 처한 곳들이 많은데 이러한 곳들도 한 번 돌아보면서... 이러한 당대의 노력들이 있어야 (제주4·3이) 후손들에게 전해질 수 있다고 봅니다."

오영훈 제주자치도지사가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제시한 여러 공약 가운데 유적지 정비 사업이 첫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JIBS 권민지입니다.

영상취재 고승한
제주방송 권민지(kmj@jibs.co.kr) 고승한(q890620@naver.com) 기자
"학교 급식 전국 최고 수준으로".. 도-교육청 협치 시작
"학교 급식 전국 최고 수준으로".. 도-교육청 협치 시작
(앵커)
제주는 친환경 무상 급식을 전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먼저 실시했지만 급식 단가는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오영훈 제주자치도지사와 김광수 교육감이 취임 이후 무상 급식 단가 인상에 합의하며 다음 학기때부터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신윤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제주시내 한 중학교 점심 시간입니다.

마파두부 덮밥에 새우튀김이 오늘 메뉴로 제공됐습니다.

오영훈 제주자치도지사와 김광수 교육감이 급식 현장을 찾아 학생들과 함께 했습니다.

한라중학교 학생
"엄청 맛있는 건 많이 안 나오는 것 같아요."

오영훈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맛있는건 많이 안 나온다? 맛있는 거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
(가끔씩 나오기는 하는데..)
"짜장면이나 그런 거?"
(네)

제주자치도와 제주도교육청이 추경예산에 급식비 46억원을 증액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평균 24% 급식 단가가 인상되면서 중학교 기준 한끼당 2,980원에서 3,700원선까지 오르게 됩니다.

전국 시도 최하위 수준인 급식비 단가가 이번 인상으로 평균 수준을 웃돌게 됐습니다.

오영훈 / 제주자치도지사
"제주도와 제주도교육청이 함께 재정을 분담하고 저희들 임기내 전국 최고 수준의 학교 급식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생각입니다.'

김광수 교육감은 급식 종사자의 안전과 위생, 근무조건 향상에도 힘쓰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김광수 / 제주자치도교육감
"친환경 급식 이라던지,Non-GMO라던지 급식실 종사하는 분들의 안전, 위생, 근무조건까지도 (관심 갖겠습니다.)"

다른 분야에서도 제주도와 교육청은 협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신윤경 기자
"오영훈 도지사와 김광수 교육감은 친환경급식비 인상은 물론이고 학교 현장을 방문하며 협치를 이어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르면 오는 9월 특수학교 현장을 찾아 지원 방안을 밝힐 예정인 가운데, 교육 정책협의회 정례화 등을 통해 도정과 교육 행정간 협치가 강화되는 계기가 마련될 지 주목됩니다.

JIBS 신윤경입니다.

영상취재 오일령
제주방송 신윤경(yunk98@jibs.co.kr) 오일령(reyong510@naver.com)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