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을 앞두고 정당 당직자나 선대위 관계자를 사칭한 일명 노쇼 사건이 큰 이슈가 됐었습니다,
한동안 잠잠하더니 요즘 또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소방당국이나 교도소, 심지어는 천주까지 사칭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런 노쇼 범죄는 보이스피싱과 법적 분류가 달라서 계좌 지급정지 처리도 어려워 피해를 키우고있는데요,
자영업자나 소상공인분들은 이 피해 사례들 잘 보시고 각별히 주의하셔야 겠습니다.
권민지 기잡니다.
(리포트)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A씨.
이달 초 제주소방안전본부 관계자라며, 디저트 13만 원어치를 주문하겠다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그러면서 특정 업체를 통해 소방 방화복을 대신 주문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이 남성, 알고 보니 소방 관계자를 사칭한 것이었습니다.
거액의 물품 구입 대금을 보내면, 현금만 가로채고 잠적하는 전형적인 범죄 수법인 겁니다.
A씨 / 카페 사장
"사실 허탈하죠. 전날 저녁까지 계속 만들었던 건 사실이에요. 당연히 믿어 의심치 않았고 의심조차 안 했던 것 같아요. (소방당국은) 여러 건의 문의가 지금 그사람 때문에 있었다(고 했습니다.)"
제주 교도소 관계자를 사칭해 무전기를 대신 구매해 달라는 사기 범죄도 발생했습니다.
현재까지 경찰에서 확인된 교도관 사칭 피해액만 4억 원가량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씨 / 이삿짐 센터 사장
"무전기를 구매해 달라고 해서 확인해 보니까 대당 80만 원이래요. 1,100만 원만 입금시켜 달라고 그랬어요. 인력 회사에서 6천 만 원을 송금시키고, 한 2주 전에는 또 1억을 피해 봤다고 하더라고요."
이 밖에도 천주교 제주교구 등 특정 기관을 사칭한 피해가 제주 전역에서 잇따르고 있습니다.
박진철 / 제주경찰청 수사2계장
"교도관 등 공무원이나 유명 연예인을 사칭한 대량 주문이나 예약의 경우 반드시 해당 기관 등에 확인하시고 특히 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문제는 이같은 피해가 발생해도 피해금액 회수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노쇼 범죄는 보이스피싱과 법적 분류가 달라 긴급 계좌 지급 정지를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일고 있습니다.
특정 기관을 사칭하는 범죄가 끊이지 않으면서, 가뜩이나 경기 침체로 어려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더욱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JIBS 권민지입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JIBS 제주방송 권민지 (kmj@jibs.co.kr) 강명철(kangjsp@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동안 잠잠하더니 요즘 또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소방당국이나 교도소, 심지어는 천주까지 사칭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런 노쇼 범죄는 보이스피싱과 법적 분류가 달라서 계좌 지급정지 처리도 어려워 피해를 키우고있는데요,
자영업자나 소상공인분들은 이 피해 사례들 잘 보시고 각별히 주의하셔야 겠습니다.
권민지 기잡니다.
(리포트)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A씨.
이달 초 제주소방안전본부 관계자라며, 디저트 13만 원어치를 주문하겠다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그러면서 특정 업체를 통해 소방 방화복을 대신 주문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이 남성, 알고 보니 소방 관계자를 사칭한 것이었습니다.
거액의 물품 구입 대금을 보내면, 현금만 가로채고 잠적하는 전형적인 범죄 수법인 겁니다.
A씨 / 카페 사장
"사실 허탈하죠. 전날 저녁까지 계속 만들었던 건 사실이에요. 당연히 믿어 의심치 않았고 의심조차 안 했던 것 같아요. (소방당국은) 여러 건의 문의가 지금 그사람 때문에 있었다(고 했습니다.)"
제주 교도소 관계자를 사칭해 무전기를 대신 구매해 달라는 사기 범죄도 발생했습니다.
현재까지 경찰에서 확인된 교도관 사칭 피해액만 4억 원가량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씨 / 이삿짐 센터 사장
"무전기를 구매해 달라고 해서 확인해 보니까 대당 80만 원이래요. 1,100만 원만 입금시켜 달라고 그랬어요. 인력 회사에서 6천 만 원을 송금시키고, 한 2주 전에는 또 1억을 피해 봤다고 하더라고요."
이 밖에도 천주교 제주교구 등 특정 기관을 사칭한 피해가 제주 전역에서 잇따르고 있습니다.
박진철 / 제주경찰청 수사2계장
"교도관 등 공무원이나 유명 연예인을 사칭한 대량 주문이나 예약의 경우 반드시 해당 기관 등에 확인하시고 특히 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문제는 이같은 피해가 발생해도 피해금액 회수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노쇼 범죄는 보이스피싱과 법적 분류가 달라 긴급 계좌 지급 정지를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일고 있습니다.
특정 기관을 사칭하는 범죄가 끊이지 않으면서, 가뜩이나 경기 침체로 어려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더욱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JIBS 권민지입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JIBS 제주방송 권민지 (kmj@jibs.co.kr) 강명철(kangjsp@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