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기사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올해 제주에서 4대 악성가축전염병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올해 전국적인 악성가축전염병 발생에 대응한 결과 전국에서 유일하게 비발생 지역을 유지하고 있다고 오늘(17일) 밝혔습니다.
4대 악성가축전염병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와 럼피스킨,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입니다.
고병원성 AI는 2022~2023년 동절기에 11개 시도에서 75건이 발생했습니다.
이어 2023~2024년 동절기 들어서는 지난 3일 전남 고흥 육용오리 농장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충남·전남·전북 등 3개 시도에서 8건이 나타나며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럼피스킨은 지난 10월 19일 충남 서산 한우농장에서 국내 첫 발생 이후 전국 9개 시도에서 107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달 20일 경북 예천 발생 이후 추가 사례는 없습니다.
구제역은 지난 5월 충북 소와 염소에서 11건이, ASF는 올해 경기, 강원에서 10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현재 가축질병 위기경보 발령상황을 보면 고병원성 AI과 럼피스킨, ASF는 '심각', 구제역은 '관심' 단계가 내려졌습니다.
제주자치도는 도외 지역에서 악성가축전염병 발생이 잇따름에 따라 방역 대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축산농가 주변 소독 지워 등 지도 점검에 나서고 있습니다.
문경삼 제주자치도 농축산식품국장은 "방역기준 준수와 통제·소독·백신 등 농장방역 3요소의 철저한 이행으로 전국 최고의 청정 축산물을 생산하고 악성가축전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제주를 실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석사 학위 취소' 김건희, 교원자격증도 사라지나.. "절차 착수"
- ∙︎ “1년 채웠으면, 이제 낙인 스톱”.. 소상공인 회생정보 ‘즉시 삭제’ 결정
- ∙︎ '이진숙 겨냥' 주진우 "논문 비문도 '복붙'.. 정상 반, 표절 반"
- ∙︎ “누운 채 떠난 사람도, 다시 제주로 돌아올 수 있다”.. 대한항공 제주지점은 어떻게 하늘 위 생명선이 되었을까
- ∙︎ “4개월 만에 다시 구속될까”.. 尹, 증거인멸 공방 속 영장심사 돌입
- ∙︎ 제주경찰, 도로 교통 5대 반칙 운전 단속 강화
- ∙︎ 행정체제개편 대비.. 행정시에 조례 제정 매뉴얼 배포
- ∙ “55만 원 준다더니, 쓸 데가 없다?”.. 정부 소비쿠폰, 왜 마트·배달앱은 막았나
- ∙ 밭일 나가 연락 끊긴 80대.. 폭염 속 11시간 동안 경운기에 깔려 있었다
- ∙ “비행기는 넘쳤는데, 왜 사람은 줄었나” 제주 하늘길의 역설.. 이젠 ‘남는 시간’이 아니라 ‘머무는 이유’를 묻는다
- ∙ '전 국민 민생지원금 신청' 눌렀는데 유료 서비스 가입.. 방통위 "기만 행위"
- ∙ 4호 태풍 '다나스' 곧 발생.. 제주 영향 촉각
- ∙ "안에 계세요?" 뱀 나오는 덤불에 파묻힌 집.. 설득 후 이틀 치웠더니 폐기물만 10톤
- ∙ “계엄령도 지시도 없었다?”.. 尹, 9시간 조사 끝 부인 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