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오늘 보건의료정책심의위
의대 정원 확대 방안 심의 열릴듯
1500~2000명 늘리는 방안 유력
20년 가까이 3,058명으로 동결된 전국 의대 정원을 대폭 늘리는 방안이 발표됩니다.
2025학년도 전국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1,500명에서 2000명가량 늘리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6일) 낮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의대 증원 규모를 심의할 예정입니다.
의대 정원은 2006년 이후 19년째 3,058명에서 변동이 없는 상탭니다. 2035년 의사가 1만5,000명 부족할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습니다.
이에 10년간 해마다 최소 1,500명 이상을 늘려야 한다는 게 정부 입장입니다. 이에 따라 지방대를 중심으로 의대 정원이 증원될 가능성이 점쳐집니다.
지방에서의 의료공백 등이 고려된 것입니다. 비수도권을 비롯한 지방 소재 의대는 지역 출신 학생을 정원의 40% 이상 선발하고 있는데 이 비율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의사 단체의 반발이 예상됩니다. 대한의사협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구체적인 대응 방침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대 정원 확대 방안 심의 열릴듯
1500~2000명 늘리는 방안 유력

20년 가까이 3,058명으로 동결된 전국 의대 정원을 대폭 늘리는 방안이 발표됩니다.
2025학년도 전국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1,500명에서 2000명가량 늘리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6일) 낮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의대 증원 규모를 심의할 예정입니다.
의대 정원은 2006년 이후 19년째 3,058명에서 변동이 없는 상탭니다. 2035년 의사가 1만5,000명 부족할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습니다.
이에 10년간 해마다 최소 1,500명 이상을 늘려야 한다는 게 정부 입장입니다. 이에 따라 지방대를 중심으로 의대 정원이 증원될 가능성이 점쳐집니다.
지방에서의 의료공백 등이 고려된 것입니다. 비수도권을 비롯한 지방 소재 의대는 지역 출신 학생을 정원의 40% 이상 선발하고 있는데 이 비율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의사 단체의 반발이 예상됩니다. 대한의사협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구체적인 대응 방침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