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 동의 없는 '대선특보' 임명장 발송 파장
국민의힘이 본인 동의 없이 무차별 발송된 '김문수 선거특보 임명장' 문자 메시지와 관련해 사과했습니다.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는 전날(21일) 오후 사과문을 통해 "사전 동의 없이 문자가 발송된 데 대해 불편을 겪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라고 밝혔습니다.
선대위는 "임명 추천을 위해 휴대전화 번호를 제공한 인사는 선거대책위원회를 포함한 모든 당직에서 해촉하고, 추가적인 필요 조치를 신속히 취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또 "해당 인사가 제공한 휴대전화 번호 등 개인정보는 전량 폐기했음을 알려드린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향후 임명장 발급과 관련한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고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앞서 21일 오전, JIBS는 ['윤석열 임명장' 잊었나...대선판에 '김문수 임명장' 또 등장] 제하의 기사를 통해 제주도내 교육 공무원에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김문수' 명의의 교육특보 임명장이 당사자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발송되고 있다는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문제의 임명장은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조직총괄본부 시민소통본부 직책에 임명됐다'는 식의 내용이었습니다. 특히, 교육 공무원에게는 '교육특보'로 임명한다는 내용이 담겨 직업군에 관한 정보까지 통째로 넘어간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문자 메시지에는 김 후보에 대한 후원 링크도 있었고, 삭제 요청을 하기 위해선 성명과 연락처를 기재하도록 해 추가적인 개인정보 유출 불안을 키웠습니다. 이 같은 임명장 발송은 제주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이뤄진 것이었습니다.
임명장을 받은 제주지역 교육 공무원 A씨는 JIBS와의 통화에서 "언제, 얼마에 내 개인정보가 팔려서 이런 메시지가 오게 된 건지 모르겠다"라며 "애초에 동의도 없이 출처 불분명한 경로로 수집한 내 정보가 이렇게 활용된 게 불쾌하다. 삭제를 요청할 계획"이라며 황당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논란이 일파만파하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제주지부는 입장문을 통해 "정치권이 교사를 '이용'하려는 움직임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해당 임명은 당사자에게 사전 동의 없이 이뤄졌으며, 이는 교사 개인의 정치적 신념과 무관하게 교육 현장의 전문성을 훼손하고 교사를 곤란한 입장에 놓이게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힘 제주도당 고위 관계자는 "제주도당과는 무관하다. 확인해 보진 않았지만 중앙당에서 착오가 있지 않았나 싶다"라며 "민주당에서도 똑같이 임명장을 보내고 있다. 우리 당직자도 임명장을 받았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지난 2022년 제20대 대선에서도 같은 일이 발생해 전국적으로 논란을 빚은 바 있습니다. 당시 제주에서도 상대 당인 민주당 소속 도의원은 물론, 선거 중립 의무가 있는 공무원, 언론인 등에게도 이 임명장이 나와 '고소·고발' 엄포까지 나왔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주지역 다수 교사에 발송된 '김문수 후보 선거특보' 임명장 및 문자 메시지. (전교조 제주지부 제공)
국민의힘이 본인 동의 없이 무차별 발송된 '김문수 선거특보 임명장' 문자 메시지와 관련해 사과했습니다.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는 전날(21일) 오후 사과문을 통해 "사전 동의 없이 문자가 발송된 데 대해 불편을 겪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라고 밝혔습니다.
선대위는 "임명 추천을 위해 휴대전화 번호를 제공한 인사는 선거대책위원회를 포함한 모든 당직에서 해촉하고, 추가적인 필요 조치를 신속히 취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또 "해당 인사가 제공한 휴대전화 번호 등 개인정보는 전량 폐기했음을 알려드린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향후 임명장 발급과 관련한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고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앞서 21일 오전, JIBS는 ['윤석열 임명장' 잊었나...대선판에 '김문수 임명장' 또 등장] 제하의 기사를 통해 제주도내 교육 공무원에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김문수' 명의의 교육특보 임명장이 당사자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발송되고 있다는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문제의 임명장은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조직총괄본부 시민소통본부 직책에 임명됐다'는 식의 내용이었습니다. 특히, 교육 공무원에게는 '교육특보'로 임명한다는 내용이 담겨 직업군에 관한 정보까지 통째로 넘어간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문자 메시지에는 김 후보에 대한 후원 링크도 있었고, 삭제 요청을 하기 위해선 성명과 연락처를 기재하도록 해 추가적인 개인정보 유출 불안을 키웠습니다. 이 같은 임명장 발송은 제주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이뤄진 것이었습니다.

지난 21일 오전 제주지역 교육 공무원 A씨가 받았다는 '국민의힘 대통령후보 김문수' 명의 특보 임명장
임명장을 받은 제주지역 교육 공무원 A씨는 JIBS와의 통화에서 "언제, 얼마에 내 개인정보가 팔려서 이런 메시지가 오게 된 건지 모르겠다"라며 "애초에 동의도 없이 출처 불분명한 경로로 수집한 내 정보가 이렇게 활용된 게 불쾌하다. 삭제를 요청할 계획"이라며 황당함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논란이 일파만파하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제주지부는 입장문을 통해 "정치권이 교사를 '이용'하려는 움직임은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해당 임명은 당사자에게 사전 동의 없이 이뤄졌으며, 이는 교사 개인의 정치적 신념과 무관하게 교육 현장의 전문성을 훼손하고 교사를 곤란한 입장에 놓이게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힘 제주도당 고위 관계자는 "제주도당과는 무관하다. 확인해 보진 않았지만 중앙당에서 착오가 있지 않았나 싶다"라며 "민주당에서도 똑같이 임명장을 보내고 있다. 우리 당직자도 임명장을 받았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지난 2022년 제20대 대선에서도 같은 일이 발생해 전국적으로 논란을 빚은 바 있습니다. 당시 제주에서도 상대 당인 민주당 소속 도의원은 물론, 선거 중립 의무가 있는 공무원, 언론인 등에게도 이 임명장이 나와 '고소·고발' 엄포까지 나왔었습니다.

지난 제20대 대선에서 뿌려진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윤석열' 명의 임명장 출력본. 사진 속 강성의, 송창권 씨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제주도의회 의원이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