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덕병(사진) 연대장 공적비
제주4·3 당시 민간인 학살 책임자로 지목된 함병선 연대장의 공적비가 제주에서 확인된 가운데, 시민사회가 학살의 역사를 바로 알릴 수 있는 안내판 설치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제주지역 52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와 '제주4·3범국민위원회'는 오늘(16일) 성명을 내고 이 같이 촉구했습니다.
이는 JIBS가 어제(15일) 제주 지역 한 부대 인근에서 함병선 제2연대장의 공적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도한 데 따른 것입니다.
함 연대장은 1948년 12월 제주에 있던 제2연대장으로 부임해 '북촌리 대학살'과 제주시 봉개·용강 지역 토벌 작전 등 당시 가장 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작전을 지휘한 인물입니다. 당시 무고한 수형인을 양산한 군법회의(군사재판)의 최고 책임자였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앞서 4·3 학살의 또 다른 책임자인 박진경 대령의 추도비가 발견된 적은 있었지만, 함 연대장의 공적비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단체들은 "4·3 학살의 주역들이 국가의 공적 공간에서 추모의 대상으로 존재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학살의 역사가 여전히 남아있는 제주 섬에 그들을 추모하는 비석들이 버젓이 존재한다는 것은 4·3 왜곡의 또 다른 증거"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전 도정부터 학살 책임자들의 비석에 역사적 사실을 명시한 안내판을 설치하자고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지만 수년째 검토에만 머물고 있다며, 더 이상 미룰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