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등봉공원 민간특례 사업에 대한 논란에 제주자치도와 제주시는 여전히 아무 문제될게 없다며, 계속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오는 8월 11일 이전에 민간특례사업 고시를 하지 못하면, 공원 부지를 토지주에게 돌려줘야하기 때문입니다.
토지보상가도 터무니없이 낮게 잡아, 실제 감정평가후엔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됩니다.
이효형 기잡니다.
(리포트)
현재 오등봉공원 민간특례 사업에 책정된 토지보상비는 1,700억원 정도입니다.
감정평가로 산정한게 아니고, 제주자치도가 임의로 공시지가의 5배로 정한겁니다.
감정평가할 시간이 없었다는게 이유입니다.
전체 부지로 나누면 3.3㎡당 90만 원 정돕니다.
부지 맞은 편은 보존녹지인데도 3.3㎡에 4백만 원 넘게 거래되고 있어 격차가 상당합니다.
토지주들은 당연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경록 / 오등봉공원비상대책위원회 총무
"감정이 제대로 될 지도 의문이고, 여러가지 세금으로 절반 이상이 날아가게 돼 있습니다. 저희가 원하는 것은 여기 아름다운 땅에 14층짜리 아파트가 아니라 그냥 토지주들에게 돌려주시는 것"
제주시는 제대로 된 감정평가는 오는 10월 쯤 할 계획입니다.
8월 11일 이전에 실시계획이 인가 고사돼야하기 때문에 논란이 될 만한건 그 이후로 미루고 있습니다.
문제는 토지 감정평가액이 3.3㎡당 90만원을 훨씬 넘어설게 뻔하다는 겁니다.
현재 책정된 토지보상액 1700억원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오등봉공원 사업자인 호반건설컨소시엄은 아파트 1,400여세대를 분양해 5,700억 원의 분양수익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토지보상액이 크게 늘어날 경우 분양수익이 급감해 수익성이 나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강원도와 경기도에선 수익성이 악화되자 사업자가 손을 떼, 민간특례사업이 좌초되는 일까지 있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수익성을 올리기 위해, 당초 제출한 분양가가 더 높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돼 버렸습니다.
실제 이런 일이 벌어지면 특혜 논란은 더 거세지게 됩니다.
타지역 공원사업 관계자
"가격을 조정하는 부분은 있을 수 있는 일이예요. 아주 없는 일도 아니고.. 제안사의 수익률을 보장해주기 위해 분양가를 높일 수 있는거죠. 제안서대로만 가야한다면 사실 사업진행이 어려운 상황이되는거죠. (그 경우) 그 사람들이 제안한 제안서의 의미는 없어지죠"
제주시는 오등봉공원 토지감정가가 높게 나올 경우 대책에 대해 어떤 언급도 할 수 없다고 전해왔습니다.
제주도와 제주시가 오등봉공원 민간특례사업을 이례적으로 밀어부치고 있지만, 벌써 여러 후폭풍들이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JIBS 이효형입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JIBS 이효형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등봉공원 민간특례 사업에 대한 논란에 제주자치도와 제주시는 여전히 아무 문제될게 없다며, 계속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오는 8월 11일 이전에 민간특례사업 고시를 하지 못하면, 공원 부지를 토지주에게 돌려줘야하기 때문입니다.
토지보상가도 터무니없이 낮게 잡아, 실제 감정평가후엔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됩니다.
이효형 기잡니다.
(리포트)
현재 오등봉공원 민간특례 사업에 책정된 토지보상비는 1,700억원 정도입니다.
감정평가로 산정한게 아니고, 제주자치도가 임의로 공시지가의 5배로 정한겁니다.
감정평가할 시간이 없었다는게 이유입니다.
전체 부지로 나누면 3.3㎡당 90만 원 정돕니다.
부지 맞은 편은 보존녹지인데도 3.3㎡에 4백만 원 넘게 거래되고 있어 격차가 상당합니다.
토지주들은 당연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경록 / 오등봉공원비상대책위원회 총무
"감정이 제대로 될 지도 의문이고, 여러가지 세금으로 절반 이상이 날아가게 돼 있습니다. 저희가 원하는 것은 여기 아름다운 땅에 14층짜리 아파트가 아니라 그냥 토지주들에게 돌려주시는 것"
제주시는 제대로 된 감정평가는 오는 10월 쯤 할 계획입니다.
8월 11일 이전에 실시계획이 인가 고사돼야하기 때문에 논란이 될 만한건 그 이후로 미루고 있습니다.
문제는 토지 감정평가액이 3.3㎡당 90만원을 훨씬 넘어설게 뻔하다는 겁니다.
현재 책정된 토지보상액 1700억원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오등봉공원 사업자인 호반건설컨소시엄은 아파트 1,400여세대를 분양해 5,700억 원의 분양수익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토지보상액이 크게 늘어날 경우 분양수익이 급감해 수익성이 나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강원도와 경기도에선 수익성이 악화되자 사업자가 손을 떼, 민간특례사업이 좌초되는 일까지 있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수익성을 올리기 위해, 당초 제출한 분양가가 더 높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돼 버렸습니다.
실제 이런 일이 벌어지면 특혜 논란은 더 거세지게 됩니다.
타지역 공원사업 관계자
"가격을 조정하는 부분은 있을 수 있는 일이예요. 아주 없는 일도 아니고.. 제안사의 수익률을 보장해주기 위해 분양가를 높일 수 있는거죠. 제안서대로만 가야한다면 사실 사업진행이 어려운 상황이되는거죠. (그 경우) 그 사람들이 제안한 제안서의 의미는 없어지죠"
제주시는 오등봉공원 토지감정가가 높게 나올 경우 대책에 대해 어떤 언급도 할 수 없다고 전해왔습니다.
제주도와 제주시가 오등봉공원 민간특례사업을 이례적으로 밀어부치고 있지만, 벌써 여러 후폭풍들이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JIBS 이효형입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JIBS 이효형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