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인 서비스
  • 광고/협찬 안내
  • 회원가입
  • 로그인
  • 뉴스
    • 뉴스 기사 보기
    • 뉴스 다시 보기
    • 보도 프로그램
    • 뉴스제보
  • TV
    • 정규프로그램
    • 특집프로그램
    • 종영프로그램
    • 수어프로그램
  • 라디오
    • 장성규 신유정의 라디오를 틀자
    • 양해림의 요망진 라디오
    • 이정민의 All4U
    • 종영프로그램
  • 편성표
  • in제주
    • 60seconds
    • 슬로우TV 제주
  • 시청자센터
    • 시청자 참여
    • 시청자 위원회
    • 시청자 고충처리제도
    • 방송수신안내
    • 공지사항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JIBS취재윤리강령
  • JIBS투어
뉴스 기사 보기 뉴스 다시 보기 보도 프로그램 뉴스제보
일반인이 '심폐소생술' 배워야 하는 이유.. 심정지 생존율 2배 껑충
2023-12-13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질병청·소방청, 심포지엄 개최
환자 7.8% 살아남아.. 0.5%p↑
제주지역 환자 매년 증가 추세
70세 이상 전체의 53.9% 차지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을 받은 급성 심정지 환자 10명 가운데 1명 이상이 살아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오늘(13일) 제12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열고 지난해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 심정지 환자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 심정지 환자는 3만 5,018명(인구 10만 명당 68.3명)으로, 전년(3만 3,235명) 대비 5.4% 증가했습니다.


이 중 병원 의무기록 조사 결과 실제 심정지로 확인된 3만 4,848명 중 2,701명이 살아남아 생존율은 7.8%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7.3%)과 비교해 0.5%포인트(p) 개선된 것입니다.

생존한 이들 중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 기능이 회복된 환자는 1,774명(5.1%)으로, 뇌 기능 회복률도 1년 전보다 0.7%p 올랐습니다.

급성 심정지 환자 발생 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비율은 전년(28.8%)보다 0.5%p 오른 29.3%로 조사됐습니다.


이 비율은 2012년 6.9%에 그쳤지만 매년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 시 생존율은 12.2%에 달했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5.9%로, 시행 시 생존율이 2.1배 높았습니다.

급성 심정지 환자는 남자(63.9%)가 여자(36.1%)보다 많았습니다.

나이가 많을수록 발생 환자가 많은 경향을 보였는데, 70세 이상에서 발생한 경우가 전체의 53.9%를 차지했습니다.

원인은 심근경색이나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심정지가 78.3%로 대부분이었습니다.

발생 장소는 비공공장소(64.5%)가 주를 이뤘고, 이 중 가정에서 발생한 경우가 44.7%로 절반에 가까웠습니다.

제주지역의 경우 2019년 627명, 2020년 654명, 2021년 683명, 지난해 702명 등으로 매년 급성 심정지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급성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시에는 먼저 119에 전화한 뒤 조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슴을 압박할 때는 5㎝ 깊이로 분당 100∼120회 눌러야 합니다. 이후에라도 자동심장충격기를 발견하면 기기에서 나오는 음성 지시에 따라 행동하면 됩니다.

질병청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자료를 개발·보급하고, 신고자와의 영상 통화 등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한다는 계획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목록

  • ㄴ '잠자는' 제주사랑상품권 9억 넘어...유효기간 5년 넘길라 우려
  • ㄴ 제주 혼잡 교차로 개선했더니.. 대기시간 줄고 통행 빨라졌다
  • ㄴ 제2의 요소수 대란?.. 제주는 수급 상황 '이상 無'
  • ㄴ 사과야 감자야...'홍지슬플러스'를 아세요?
  • ㄴ 체류여행 “더 가고 더 쓰겠다는데”.. ‘제주’는 차순위, 왜?
최신 뉴스
  • ∙︎ “尹, 숨지 못한다”..내란 피고인, 첫 포토라인 선다
  • ∙︎ “같이 가자며 따로 걷는다”.. 보수 단일화, 끝내 ‘동상이몽’
  • ∙︎ 한 "오늘·내일 당장 단일화" 김 "입당도 안 하고 청구서 내미나"
  • ∙︎ 제주 복합리조트, ‘중국 4대 요리 전면전’.. 하늘 위 상하이 vs. 바다 곁 닝보
  • ∙︎ [제주 날씨] "봄비 수준 아니다" 200mm '물폭탄'에 태풍급 강풍 예고
  • ∙︎ “감동 환대만으론 부족해”.. 다시 오게 하려면 관광 방식부터 바꿔야
  • ∙︎ “김문수 끌어내리면 법정 간다”.. 이준석, ‘윤-쌍권 단일화’ 정조준
많이 본 뉴스
  • ∙ "하늘이 좀 무섭네요" 제주 상공에 기묘한 구름...정체가? [영상]
  • ∙ 尹탄핵 가결 후 임명 '낙하산' 공공기관장 45명...알박기 논란 불가피
  • ∙ 한동훈, 7일 해단식.. 김문수 선대위엔 '끝내 불참'
  • ∙ 일본 가서 女치마 속 찍은 한국 남성 덜미..."나라 망신"
  • ∙ 한동훈, 탈락 직후 “당원 가입” 요청.. 말 대신 링크를 눌렀다
  • ∙ 신호등 떨어지고 항공기 결항...황금연휴 첫날 제주에 태풍급 강풍
  • ∙ “위헌이라며 유보?”.. 탄핵 멈춘 민주당, 대법 때리기 ‘시간벌기’ 들어갔다
  • 회사 소개
  • JIBS방송편성규약
  • JIBS취재윤리강령
  • 개인정보처리방침
  • 시청자고충처리
  • 시청자위원회
  • 방송수신안내
  • 오시는길
  • 사이트맵
  • 우)6314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삼로 95 (오라삼동)
  • 대표전화 : 064)740-7800 팩스 : 064)740-7859 문의 : webmaster@jibs.co.kr
  • CopyRight.2002 JIB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