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입 5년 만에 '1위 탈환'
한일 관계 개선.. 불매운동도↓
中 3위까지 두 계단 순위 추락
지난해 일본이 5년 만에 맥주 수입국 1위를 탈환했습니다. 일본 정부의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 이후 처음입니다.
반면 칭다오 '소변 맥주' 파문이 일었던 중국은 1위 자리를 내주고 3위까지 떨어졌습니다.
오늘(17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액은 전년 대비 283.3% 오른 5,551만 6,000달러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18년 이후 5년 만에 1위에 오른 일본 맥주 수입액은 2019년 7월에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를 단행한 이후 급속히 감소했습니다.
2018년 7,830만 달러에서 2019년 3,975만 6,000달러, 2020년 566만 8,000달러로 줄었다가 2021년 687만 5,000달러로 소폭 늘어난 데 이어 2022년 1,448만 4,000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순위는 2018년 1위에서 2019년 2위, 2020년과 2021년 각각 9위로 추락했고, 2022년 6위로 높아지더니 지난해 1위를 되찾았습니다.
지난해 한일 정상회담 개최 등을 계기로 한일 관계가 개선되고 수출 규제 조치 이후 벌어진 일본 맥주 불매운동도 잦아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불매운동으로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의 매대에서 사라졌던 아사히·삿포로 등의 일본 맥주는 다시 자리를 잡고 있는 것과 반대로 2022년 수입액 1위를 기록한 중국 맥주는 지난해 3위로 순위가 두 계단 추락했습니다.
지난해 중국 맥주 수입액은 3,016만 3,000달러로 전년보다 17.2% 줄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중국 칭다오 맥주 공장에서 한 남성이 소변을 보는 영상이 공개되며 파문이 일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지난해 12월 중국 맥주 수입액은 58만 5,000달러까지 줄어들면서 7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맥주 수입액을 수입국별로 보면 일본(5,551만 6,000달러)에 이어 네덜란드(3,356만 4,000달러), 중국(3,016만 3,000달러), 미국(1,693만 9,000달러), 폴란드(1,372만 달러) 등 순이었습니다.
지난해 한국 맥주 수출액이 가장 많은 국가는 홍콩(2,945만 4,000달러)이었습니다. 다음으로 일본(1,387만 달러), 미국(877만 3,000달러), 몽골(874만 2,000달러), 중국(319만 9,000달러)이 뒤를 이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일 관계 개선.. 불매운동도↓
中 3위까지 두 계단 순위 추락

편의점 맥주 매대 자료사진
지난해 일본이 5년 만에 맥주 수입국 1위를 탈환했습니다. 일본 정부의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 이후 처음입니다.
반면 칭다오 '소변 맥주' 파문이 일었던 중국은 1위 자리를 내주고 3위까지 떨어졌습니다.
오늘(17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액은 전년 대비 283.3% 오른 5,551만 6,000달러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18년 이후 5년 만에 1위에 오른 일본 맥주 수입액은 2019년 7월에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를 단행한 이후 급속히 감소했습니다.
2018년 7,830만 달러에서 2019년 3,975만 6,000달러, 2020년 566만 8,000달러로 줄었다가 2021년 687만 5,000달러로 소폭 늘어난 데 이어 2022년 1,448만 4,000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순위는 2018년 1위에서 2019년 2위, 2020년과 2021년 각각 9위로 추락했고, 2022년 6위로 높아지더니 지난해 1위를 되찾았습니다.
지난해 한일 정상회담 개최 등을 계기로 한일 관계가 개선되고 수출 규제 조치 이후 벌어진 일본 맥주 불매운동도 잦아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소변 맥주'로 파문이 일었던 중국 맥주공장 (사진,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SNS)
불매운동으로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의 매대에서 사라졌던 아사히·삿포로 등의 일본 맥주는 다시 자리를 잡고 있는 것과 반대로 2022년 수입액 1위를 기록한 중국 맥주는 지난해 3위로 순위가 두 계단 추락했습니다.
지난해 중국 맥주 수입액은 3,016만 3,000달러로 전년보다 17.2% 줄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 중국 칭다오 맥주 공장에서 한 남성이 소변을 보는 영상이 공개되며 파문이 일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지난해 12월 중국 맥주 수입액은 58만 5,000달러까지 줄어들면서 7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맥주 수입액을 수입국별로 보면 일본(5,551만 6,000달러)에 이어 네덜란드(3,356만 4,000달러), 중국(3,016만 3,000달러), 미국(1,693만 9,000달러), 폴란드(1,372만 달러) 등 순이었습니다.
지난해 한국 맥주 수출액이 가장 많은 국가는 홍콩(2,945만 4,000달러)이었습니다. 다음으로 일본(1,387만 달러), 미국(877만 3,000달러), 몽골(874만 2,000달러), 중국(319만 9,000달러)이 뒤를 이었습니다.

사진은 기사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밭에서 찜 됐다”.. 단호박 터지고 당근은 사라져, 이젠 폭우 내린다고?
- ∙︎ 민주당 새 대표에 '정청래'.. 李 정부 첫 여당 수장
- ∙︎ “휘발유 멈췄고, 경유 뛴다”.. ‘트럼프’發 기름, 8월에 진짜 ‘껑충’?
- ∙︎ "자동차 열기 뜨거워" 주차장 봉쇄한 1층 주민.. 황당한 이웃
- ∙︎ 李 대통령 "민주당, 새 지도부 중심 '원팀'으로 앞장서주길"
- ∙︎ “진성준, 그래서 ‘초보’.. 시장이 놀이터냐?” 한동훈 직격, 갈라진 민주당 ‘10억 과세’
- ∙︎ 尹 '속옷 바람' 저항에.. 與 "담요로 말아야" vs 野 "노골적 공개"
- ∙ 민생쿠폰 다 썼더니 또 5만원?...'특별 소비쿠폰' 참여 방법은
- ∙ “결제까지 끝냈는데, 비즈니스 좌석이 사라졌다”.. 아시아나 ‘전산 오류’에, 사과도 없었다
- ∙ 현금 4억여원 훔친 환전소 직원 붙잡히자 '아이폰 비번 말 못 해'
- ∙ “또 낚싯줄에”.. 제주 바다, 남방큰돌고래 새끼가 계속 죽어간다
- ∙ "경로가 무슨" 부활한 제8호 태풍 꼬마이...필리핀·日 오키나와 거쳐 중국으로
- ∙ '구치소 선배' 정청래, 특검 불응 尹에 "내가 살아봐서 아는데.."
- ∙ “계약직 11년, 마침내 정규직”.. 제주 첫 이주여성, ‘론다비’가 남긴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