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대전환 탄소중립 비전 선포
기후 위기 대응.. 단·중·장기 로드맵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7GW로 확대
그린수소 6만t 이상 생산 등도 추진
제주자치도가 오는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기반 에너지 전환을 통해 아시아 최초 무탄소 도시로 도약하는 도전에 나섭니다.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이행 계획보다 15년 앞서 탄소중립 에너지 사회를 구현하고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넷 제로 제주'를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제주자치도는 오늘(1일) 제주시 한라수목원 잔디광장에서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2035 탄소중립 비전'을 선포했습니다.
2035년 제주의 탄소 배출량은 총 600만t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다방면의 저감계획을 통해 상쇄해도 470만t의 탄소가 남아 순배출 '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로의 전환이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이에 도는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7기가와트(GW) 규모로 확대해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70% 이상으로 높이고, 그린수소는 6만t 이상을 생산해 기저 발전을 화력에서 수소로 100% 전환할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 2026년까지 해상풍력 100메가와트(㎿)를 구축하고, 수전해 시설을 15㎿ 이상으로 확충할 계획입니다.
중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150㎿ 추가, 축산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의 청정 수소 자원화를, 장기 프로젝트로는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 단지 조성, 수소 전소 발전, 수소 트램 및 항만 구축 등이 이뤄집니다.
특히 도는 내연차량 등록을 규제하고 기존의 전기차 보급정책과 병행해 대형차량의 수소차 전환을 확대하는 등 친환경차로의 전환 정책에 속도를 낼 예정입니다.
또 정부와 국가 연구개발(R&D) 실증사업을 통한 수전해 효율 향상으로 탄소 저감 효과 3% 달성, 선박·항공 무탄소 에너지 전환으로 탄소 배출량 12.4% 감축, 내연차 등록 중단 등 법적 근거 마련 등을 협력키로 했습니다.
도는 전국 1호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을 통한 제주형 전력 요금 특례를 발굴하고, 통합발전소(VPP) 운영으로 재생에너지를 활성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면 새로운 전력시장이 열리고 에너지 기업에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공업지역과 농공단지, 산업단지, 항만 등 산업 분야에서도 그린수소·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집적화되도록 공간이 마련돼 에너지 전환의 거점 및 산업 기반시설이 구축됩니다.
오영훈 제주자치도지사는 "가장 먼저 시작한 제주가 가장 먼저 탄소중립 사회를 열겠다"며 "제주가 기후 위기와 에너지 안보 문제를 해결하는 글로벌 선도도시가 되겠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후 위기 대응.. 단·중·장기 로드맵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7GW로 확대
그린수소 6만t 이상 생산 등도 추진

오늘(1일) 제주시 한라수목원 잔디광장에서 열린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2035 탄소중립 비전' 선포식
제주자치도가 오는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기반 에너지 전환을 통해 아시아 최초 무탄소 도시로 도약하는 도전에 나섭니다.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이행 계획보다 15년 앞서 탄소중립 에너지 사회를 구현하고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넷 제로 제주'를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제주자치도는 오늘(1일) 제주시 한라수목원 잔디광장에서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2035 탄소중립 비전'을 선포했습니다.
2035년 제주의 탄소 배출량은 총 600만t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다방면의 저감계획을 통해 상쇄해도 470만t의 탄소가 남아 순배출 '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로의 전환이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이에 도는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7기가와트(GW) 규모로 확대해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70% 이상으로 높이고, 그린수소는 6만t 이상을 생산해 기저 발전을 화력에서 수소로 100% 전환할 방침입니다.

오늘(1일) 제주시 한라수목원 잔디광장에서 열린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2035 탄소중립 비전' 선포식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 2026년까지 해상풍력 100메가와트(㎿)를 구축하고, 수전해 시설을 15㎿ 이상으로 확충할 계획입니다.
중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150㎿ 추가, 축산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의 청정 수소 자원화를, 장기 프로젝트로는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 단지 조성, 수소 전소 발전, 수소 트램 및 항만 구축 등이 이뤄집니다.
특히 도는 내연차량 등록을 규제하고 기존의 전기차 보급정책과 병행해 대형차량의 수소차 전환을 확대하는 등 친환경차로의 전환 정책에 속도를 낼 예정입니다.
또 정부와 국가 연구개발(R&D) 실증사업을 통한 수전해 효율 향상으로 탄소 저감 효과 3% 달성, 선박·항공 무탄소 에너지 전환으로 탄소 배출량 12.4% 감축, 내연차 등록 중단 등 법적 근거 마련 등을 협력키로 했습니다.
도는 전국 1호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을 통한 제주형 전력 요금 특례를 발굴하고, 통합발전소(VPP) 운영으로 재생에너지를 활성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면 새로운 전력시장이 열리고 에너지 기업에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공업지역과 농공단지, 산업단지, 항만 등 산업 분야에서도 그린수소·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집적화되도록 공간이 마련돼 에너지 전환의 거점 및 산업 기반시설이 구축됩니다.
오영훈 제주자치도지사는 "가장 먼저 시작한 제주가 가장 먼저 탄소중립 사회를 열겠다"며 "제주가 기후 위기와 에너지 안보 문제를 해결하는 글로벌 선도도시가 되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1일) 제주시 한라수목원 잔디광장에서 열린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2035 탄소중립 비전' 선포식
JIBS 제주방송 김재연(Replay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면허값 2억 넘는데" 개인택시 보상은 1억 8천.. 감차 가능할까
- ∙ "파라솔 2만원이라더니" 해수욕장 고무줄 요금 관광객 빈축
- ∙ “131만 원 돌려받는다”.. 2.8조 환급 시작, 그럼 나는 얼마나?
- ∙ 10만원 넣으면 30만원 적립...'희망저축계좌' 가입자 모집 [모르면손해]
- ∙ 제주산 주문했더니, '포르투갈산'이 나왔다...삼겹살 2.2톤 속여 판 식당
- ∙ “동문시장보다 버스, 폭포보다 와이파이”.. 크루즈 37만, 시스템 채우면 “더 머물고 더 쓸까?”
- ∙ 중졸 이후 40년 공장에 청춘 바친 가장.. 4명 살리고 하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