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조율 필요.. 2026년 기초단체 도입은 어려워"
"대신 1년 뒤 2027년라도.." 도입 필요성 재차 강조
3개 시(市) 조정안도 "이미 결정된 사안" 관철 의지
주민투표 의지도 여전.. 내년 도지사 선거전 쟁점화
오영훈 제주지사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이 최근 여론조사에서 부정적인 여론이 높게 확인된 것과 관련해 다소 늦어지더라도 반드시 관철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오영훈 지사는 오늘(4일) 제주도청 소통회의실에서 진행된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국정과제에서 제주형 기초자치단체가 포함된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며 "다만 도입 시기와 관련해 실무협의를 비롯해 지역 국회의원들과 조율 중이기에 행정안전부 입장에선 주민투표가 이뤄지더라도 최소한 1년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국회의원들 입장에서도 일부 구역에 대한 이견이 존재하고, 내년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있다"며 "2026년 기초자치단체 도입은 어렵다는 말씀을 드린다. 많은 도민분들께서 노력해주셨는데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계획했던 2026년에서 1년 뒤인 2027년 이후를 목표로 추진하겠다는 의사는 명확히했습니다.
오 지사는 "2027년 7월 1일, 2028년 7월 1일 제도 시행이 갖춰질 수 있다고 본다"며 "차질 없이 수행하겠다. 행정체제개편, 기초자치단체 도입은 단순히 공무원을 위한 것이 아니라 도민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비록 2026년이 아니더라도 새로운 기초자치단체장이 뽑힌다면 2027년에는 임기 3년, 2028년에는 임기 2년가 가능하다는 겁니다.
이에 오 지사는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주민투표가 시행돼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행안부와 협의가 더 필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주민투표를 의지를 재차 드러냈습니다.
도정에서 내세우는 기존 제주시를 동·서로 나누고 서귀포시를 포함해 3개 시(市)로 운영하는 방안이 반대 여론이 이어지는 것에 대해선 "이미 결정된 안"이라고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오 지사는 "(구역 조정안이) 쟁점이 돼서 곤혹스럽다"며 "행안부가 이견을 조정해달라고 요구하고 있기에 추가적 공론조사가 필요하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한지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제주를 3개 구역으로 나누는 안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기 때문에 기존 행정체제개편위원회에 준하는 법적 제도에 근거한 위원회를 구성해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제주도의회가 그제(2일) 발표한 행정체제개편 여론조사에선 오영훈 도정 추진 안에 대해 전적으로 찬성하는 의견이 30%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이 조사에선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해 응답자의 66.4%가 "도민 의견 수렴, 추가적인 정보 제공과 상황 변화를 고려한 이후 진행"이라고 답해 "2026년 7월 도입" 의견 23.0%보다 2배 높게 나왔습니다.
3개 시 조정안에 대해서도 찬성 의견은 28.4%로 30%를 넘지 못했습니다.
이 조사는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에서 지난달 21일부터 26일까지 6일 동안 제주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ARS 20%, 모바일웹조사 80%으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2.5%포인트로 응답률은 20.4%입니다.
JIBS 제주방송 신효은 (yunk98@jibs.co.kr)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신 1년 뒤 2027년라도.." 도입 필요성 재차 강조
3개 시(市) 조정안도 "이미 결정된 사안" 관철 의지
주민투표 의지도 여전.. 내년 도지사 선거전 쟁점화

오영훈 제주지사가 오늘(4일) 제주도청 소통회의실에서 진행된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 신효은 기자)
오영훈 제주지사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제주형 행정체제개편'이 최근 여론조사에서 부정적인 여론이 높게 확인된 것과 관련해 다소 늦어지더라도 반드시 관철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오영훈 지사는 오늘(4일) 제주도청 소통회의실에서 진행된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국정과제에서 제주형 기초자치단체가 포함된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며 "다만 도입 시기와 관련해 실무협의를 비롯해 지역 국회의원들과 조율 중이기에 행정안전부 입장에선 주민투표가 이뤄지더라도 최소한 1년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국회의원들 입장에서도 일부 구역에 대한 이견이 존재하고, 내년 도입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있다"며 "2026년 기초자치단체 도입은 어렵다는 말씀을 드린다. 많은 도민분들께서 노력해주셨는데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계획했던 2026년에서 1년 뒤인 2027년 이후를 목표로 추진하겠다는 의사는 명확히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청
오 지사는 "2027년 7월 1일, 2028년 7월 1일 제도 시행이 갖춰질 수 있다고 본다"며 "차질 없이 수행하겠다. 행정체제개편, 기초자치단체 도입은 단순히 공무원을 위한 것이 아니라 도민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비록 2026년이 아니더라도 새로운 기초자치단체장이 뽑힌다면 2027년에는 임기 3년, 2028년에는 임기 2년가 가능하다는 겁니다.
이에 오 지사는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주민투표가 시행돼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행안부와 협의가 더 필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주민투표를 의지를 재차 드러냈습니다.
도정에서 내세우는 기존 제주시를 동·서로 나누고 서귀포시를 포함해 3개 시(市)로 운영하는 방안이 반대 여론이 이어지는 것에 대해선 "이미 결정된 안"이라고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오 지사는 "(구역 조정안이) 쟁점이 돼서 곤혹스럽다"며 "행안부가 이견을 조정해달라고 요구하고 있기에 추가적 공론조사가 필요하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한지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제주를 3개 구역으로 나누는 안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기 때문에 기존 행정체제개편위원회에 준하는 법적 제도에 근거한 위원회를 구성해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주도의회 본회의장
앞서 제주도의회가 그제(2일) 발표한 행정체제개편 여론조사에선 오영훈 도정 추진 안에 대해 전적으로 찬성하는 의견이 30%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이 조사에선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해 응답자의 66.4%가 "도민 의견 수렴, 추가적인 정보 제공과 상황 변화를 고려한 이후 진행"이라고 답해 "2026년 7월 도입" 의견 23.0%보다 2배 높게 나왔습니다.
3개 시 조정안에 대해서도 찬성 의견은 28.4%로 30%를 넘지 못했습니다.
이 조사는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에서 지난달 21일부터 26일까지 6일 동안 제주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ARS 20%, 모바일웹조사 80%으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2.5%포인트로 응답률은 20.4%입니다.
JIBS 제주방송 신효은 (yunk98@jibs.co.kr) 이효형 (getstarted@hanmail.net)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