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케이션과 런케이션, 최근에 많이 들어본 단어인데요.
이제는 농케이션이란 말까지 등장했습니다.
농촌이 주도하고 도시가 연결되는 모델인데, 제주에서 처음으로 시도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창업 교육과 로컬이 결합한 새로운 실험인데요,
그 시작점은 남쪽 끝 어촌 마을 모슬포가 되고 있습니다.
김지훈 기잡니다.
(리포트)
관광객이 떠난 모슬포항 매표소,
도시 창업자와 어촌이 함께 '일'을 설계하는 창업 거점으로 바뀌었습니다.
이곳의 이름은 '촌-피스'로, 제주 첫 농어촌 특화 워케이션 거점으로 조성된 협업 공간입니다.
도시에서 와 머무는 방식이 아니라,
농촌이 주도하고 도시가 연결되는 '농케이션' 모델의 첫 시도가 본격 시작됐습니다.
정태준 '촌-피스' 추진단장
"워케이션의 순기능을 가져가면서, 또 다른 형태 예를 들면 기업과 기업, 개인과 개인과 기업 간의 일을 연계하는 역할을 하려고 합니다. (지역) 경기 회복에 일조하고 싶은 마음이 있거든요. 그래서 시작한 사업이고 아마 그것들이 조금이라도 이루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일과 휴식을 함께하는 워케이션은 이미 제주를 중심으로 확산 중입니다.
이제 그 흐름이 어촌과 연결되며, 한 단계 더 진화하고 있습니다.
촌-피스에는 스페인 몬드라곤 대학의 창업교육을 이수한 현지 창업자들도 함께합니다.
협동조합 철학 기반의 글로벌 스타트업이 제주 어촌의 현안과 연결되는 건 이례적입니다.
대정에는 풍부한 해양 자원과 유휴 공간, 로컬 네트워크가 집약돼 체류형 워케이션을 넘어 '지역 해결형 협업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강현 비노마드 대표 (MTA 글로벌 파트너)
"글로벌 학생들의 경험과 좋은 연결이 이루어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스페인) 거기도 수협도 많고 농협도 많이 있는데, 그쪽 친구들이 이쪽 오면 아마 요리라든지 혹은 지역 문화 그 다음 어르신들과의 교류, 이런 것들에 대해서 아이디어를 내고 또 재미있는 실험들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번 실험은 일회성 머무름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로컬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제주스타트업협회와 지역 단체도 참여하며 9월부터 외부 개방하고 본격 운영할 예정입니다.
관광을 넘어 체류로, 체류를 넘어 협업으로.
어촌이 도시를 끌어들이는 창업의 무대가 되고 있습니다.
JIBS 김지훈입니다.
영상취재 오일령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오일령(reyong510@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제는 농케이션이란 말까지 등장했습니다.
농촌이 주도하고 도시가 연결되는 모델인데, 제주에서 처음으로 시도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창업 교육과 로컬이 결합한 새로운 실험인데요,
그 시작점은 남쪽 끝 어촌 마을 모슬포가 되고 있습니다.
김지훈 기잡니다.
(리포트)
관광객이 떠난 모슬포항 매표소,
도시 창업자와 어촌이 함께 '일'을 설계하는 창업 거점으로 바뀌었습니다.
이곳의 이름은 '촌-피스'로, 제주 첫 농어촌 특화 워케이션 거점으로 조성된 협업 공간입니다.
도시에서 와 머무는 방식이 아니라,
농촌이 주도하고 도시가 연결되는 '농케이션' 모델의 첫 시도가 본격 시작됐습니다.
정태준 '촌-피스' 추진단장
"워케이션의 순기능을 가져가면서, 또 다른 형태 예를 들면 기업과 기업, 개인과 개인과 기업 간의 일을 연계하는 역할을 하려고 합니다. (지역) 경기 회복에 일조하고 싶은 마음이 있거든요. 그래서 시작한 사업이고 아마 그것들이 조금이라도 이루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일과 휴식을 함께하는 워케이션은 이미 제주를 중심으로 확산 중입니다.
이제 그 흐름이 어촌과 연결되며, 한 단계 더 진화하고 있습니다.
촌-피스에는 스페인 몬드라곤 대학의 창업교육을 이수한 현지 창업자들도 함께합니다.
협동조합 철학 기반의 글로벌 스타트업이 제주 어촌의 현안과 연결되는 건 이례적입니다.
대정에는 풍부한 해양 자원과 유휴 공간, 로컬 네트워크가 집약돼 체류형 워케이션을 넘어 '지역 해결형 협업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강현 비노마드 대표 (MTA 글로벌 파트너)
"글로벌 학생들의 경험과 좋은 연결이 이루어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스페인) 거기도 수협도 많고 농협도 많이 있는데, 그쪽 친구들이 이쪽 오면 아마 요리라든지 혹은 지역 문화 그 다음 어르신들과의 교류, 이런 것들에 대해서 아이디어를 내고 또 재미있는 실험들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번 실험은 일회성 머무름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로컬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제주스타트업협회와 지역 단체도 참여하며 9월부터 외부 개방하고 본격 운영할 예정입니다.
관광을 넘어 체류로, 체류를 넘어 협업으로.
어촌이 도시를 끌어들이는 창업의 무대가 되고 있습니다.
JIBS 김지훈입니다.
영상취재 오일령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오일령(reyong510@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