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불법자동차 1,400여대 적발..행정처분

뉴스 클립 VOD

[제주날씨] 제주·성산 올들어 가장 더워, '36.3도'까지 치솟아

9월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가을이 오긴커녕 오히려 최고기온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오늘 제주시의 낮 최고기온은 무려 36.3도까지 치솟으면서 평년보다 7도가량을 훌쩍 웃돌며 올들어 가장 더웠는데요. 성산 역시 34.2도로 올여름 최고기온을 기록했습니다. 한편, 내일 늦은 새벽까지는 제주 곳곳에 비가 조금 내리겠고요. 비는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오후부터 다시 소나기가 지나겠습니다. 특히, 늦은 오후부터는 한라산 동쪽 지역을 중심으로, 최대 20mm 정도의 소나기가 내릴 전망입니다. 자세한 지역별 기온도 살펴보시면, 내일 아침 안덕과 대정 26도로 출발해, 한낮에는 32도로 오늘보다 1도가량 낮겠고요. 표선과 남원의 낮 기온은 31도로 오늘보다 2도가량 낮겠습니다. 이어서 산간지역은 한낮에 20도에서 27도 분포 보이겠습니다. 내일 바다의 물결은 전 해상에서 최고 2m로 잔잔하겠습니다. 전국 날씨입니다. 강한 비가 지나면서 더위를 식혀주긴 했지만, 내일은 다시 기온이 크게 오르겠습니다. 내일 서울의 낮 기온 32도, 대구는 33도까지 오르겠습니다. 이어서 아시아날씨도 살펴보시면, 홍콩은 다음 주 후반까지 오락가락 비가 이어지겠고, 뉴델리는 주말까지 천둥번개를 동반한 요란한 비가 내리겠습니다. 제주는 당분간 구름많은 날씨가 계속되겠고요, 다음 주 초반에 한 차례 더 비가 지나겠습니다. 날씨였습니다.

기후변화 칼날...쪼개진 레드향의 경고

제주지역 대표적인 만감류 가운데 하나인 레드향 열과 피해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런 피해가 앞으로 더 심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레드향 뿐만이 아닙니다. 기후변화가 원인인데, 제주 농업 현장 곳곳을 서서히 무너뜨리고 있는 것입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리포트) 서귀포시 남원읍의 한 시설 하우스. 나무에 매달린 레드향이 누렇게 변해 썩어버렸습니다. 열매마다 무언가에 베인 듯 쪼개져 버렸습니다. "이건 어제쯤 열과 된 것으로..." 하우스 내부 온도를 낮추기 위해 올해 처음 차광 페인트까지 칠했지만, 열과 피해를 막진 못했습니다. 지난해에 이은 극심한 피해에 농민은 할 말을 잊었습니다. 오경호 / 레드향 농가 "수확하기도 전에 이런 실망감이 오다보니까, 농사 짓는 사람으로서는 상당히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이런 열과 피해는 제주 전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지난해 도내 레드향 재배면적의 40% 가량에서 피해를 입었는데, 레드향 열과의 주요 원인인 고온과 열대야가 올해도 계속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던 다른 만감류에서도 열과 피해가 발생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오성담 / 제주만감류연합회장 "이상기온으로 인해서 3~4년전부터 레드향만 열과되는게 아니라, 한라봉, 황금향, 천혜향에도 열과율이 상당히 높아졌어요. 이게 농가에서 어떻게 해볼 방법이 없어요" 열과 피해가 심해지자, 최근 상당수 레드향 농가가 천혜향으로 작목을 전환하고 있는 상황. 일부 품목에 생산이 집중되면 가격 하락 등 연쇄적으로 파장이 이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김동은 기자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도내 농업현장 곳곳이 타격을 받으면서 농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메밀 최대 주산지인 제주에선 기후 변화에 메밀 이삭에서 싹이 트는 수발아 피해가 매년 심화되고 있고, 지난해에는 제주 마늘 재배 면적의 60% 가량에서 이른바 벌마늘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에서 농업 관련 재난 지원금으로 360억원이 투입됐을 정도입니다. 앞으로 기후변화가 심화될수록 피해는 더 커지고, 곧바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얘깁니다. 쪼개진 레드향은 단순한 피해가 아닌, 기후변화의 매서운 칼날이 어디까지 향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경고의 단면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