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에 늘어선 쓰레기 수거 차량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에서 가연성 폐기물 소각이 정상적으로 재개됐습니다.
제주자치도와 인근 동복리 주민들간의 합의가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와 북촌리 주민들고 구성된 쓰레기 시민감시단은 어제부터 오늘 오전까지 환경자원순환센터로 반입되는 종량제 쓰레기를 일일이 검사해 왔습니다.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소각로에 바로 투입하는게 아니라, 소각로 입구에 일단 쏟아 부은 후 쓰레기 봉투 하나하나 개봉해서 확인하는 전수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때문에 쓰레기 수거 차량 한대분을 처리하는데 3시간 넘게 소요됐습니다.

종량제 쓰레기 전수 검사가 진행중인 현장
제주시에서 쓰레기를 수거해 오는 차량이 32대나 되지만, 반나절 동안 2,3대 분량 밖에 처리할 수 없었습니다.
환경자원순환센터 입구엔 쓰레기 수거 차량이 20여대가 몇시간씩 대기해야만 했습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에 늘어선 쓰레기 수거 차량
주민들은 지난 2014년 제주자치도와 업무 협약 당시, 재활용이나 불에 안타는 쓰레기는 반입을 금지하고, 관리를 하겠다는 약속을 했지만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검사 강도를 높였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28일부터 제주시에서 수거된 종량제 쓰레기 검사가 시작됐고, 5일 동안은 간단한 샘플 검사만 진행됐습니다.
그러다 어제(2일)부터 갑자기 전수 검사를 하겠다며 사실상 쓰레기 소각 처리를 막아섰습니다.
이때문에 제주시내 클린하우스엔 종량제 쓰레기가 넘쳐나게 됐고, 무더위 속에 악취가 진통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습니다.
그나마 제주자치도와 주민들 사이의 협의가 진행돼, 오후 1시부터 쓰레기 소각 처리가 정상적으로 재개됐습니다.

종량제 쓰레기 봉투가 쌓여가는 클린하우스
일단 오는 6일까지 제주시에서 수거된 종량제 쓰레기를 전수 검사 대신 육안 검사만 하고 처리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 오는 8일부터 예정된 서귀포시 반입 쓰레기는 검사 방식을 어떻게 할지 추후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쓰레기 처리 지연 논란엔 이면의 얘기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동복리엔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라는 폐기물 처리 시설, 쓰레기 선별장이 있습니다.
그동안 민간업체 2곳에 위탁을 맡겨 왔던 시설입니다.
제주자치도가 이 시설 위탁 운영권을 동복리 마을회에 주기로 했습니다.
그러자 마을회측에선 회수센터 운영비를 늘려주고, 마을 일자리 창출을 위해 현재 81명인 근무인원을 92명으로 11명 늘려 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에따른 추가 비용이 25억원에서 30억원으로 추산됩니다.
여기에다 회수센터 시설 보수 비용까지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늘어나는 예산 규모가 훨씬 늘어날 것으로 제주자치도는 보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는 마을회 요구를 수용하긴 어려운 상황이고, 근무 인원은 4명 정도 늘리는게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회수센터 운영비를 늘리는 것 역시 수용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분위기입니다.
마을회 입장에선 회수센터 운영비가 커질수록 위탁 운영에 따를 수수료 수익이 커지기 때문에 역시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의 쓰레기 소각 처리가 이틀만에 다시 정상적으로 재개되긴 했지만, 여전히 제주자치도와 동복리 주민들 간의 입장차가 큰 사안이 남아 있어, 쓰레기 반입 중단 사태는 언제든 불거질 수 있는 시한폭탄인 셈입니다.
JIBS 제주방송 강석창(ksc064@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