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공사 실시간 데이터 80분 '훌쩍'… 평일 오후에도 전국 최고 혼잡
보안검색 강화, 수속 지연·주차 포화… “효율 어디 갔나” 불만 이어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전국 공항의 항공보안등급이 상향되면서, 제주국제공항을 비롯한 주요 공항이 24일부터 심한 혼잡을 겪고 있습니다.
보안검색 강화로 수속 시간은 길어졌고, 주차장은 이미 만석 상태입니다.
■ 보안등급 ‘관심→주의’, APEC 기간 전국 공항 일제 강화
한국공항공사는 24일부터 11월 1일까지 전국 15개 공항(인천 포함)의 항공보안등급을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했습니다.
경주에서 열리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각국 정상과 대표단이 입출국하는 주요 공항의 경비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특히 김해·대구·울산·포항경주공항은 28일부터 닷새간 ‘경계’ 단계로 한 단계 더 격상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무작위 신체검색 비율이 최대 20%로 높아지고, 경비 순찰 주기도 30분 단위로 단축됩니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보안등급 상향으로 일부 불편이 불가피하다”며 “탑승객은 평소보다 충분히 일찍 공항에 도착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 제주공항, 첫날부터 포화… “탑승 수속 80분 넘기도, 주차는 0대 가능”
이미 제주공항 운영엔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공항공사 실시간 데이터에 따르면 24일 오후 2시 40분 기준, 제주공항 국내선 평균 탑승수속 소요시간은 86분으로 사실상 1시간 반에 달했습니다.
이는 셀프 체크인부터 게이트 진입까지 걸리는 평균 체류시간으로, 평소(50분 안팎)보다 35분 이상 길어진 수준입니다.
같은 시각 공항 주차장 상황도 ‘혼잡’으로 표시됐습니다.
P1·P2 주차장은 모두 ‘0대 가능’ 상태로 전광판에는 붉은색 경고등이 켜졌고, 장기주차장 진입 차량이 활주로 방향으로 길게 늘어섰습니다.
공항 접근로부터 하차구역까지 정체가 이어지며, 일부 승객은 캐리어를 끌고 수백 미터를 이동해야 했습니다.
■ 공식 안내도 “신발 검색 시행”… 보안 절차 강화 현실화
제주공항은 홈페이지 메인 배너를 통해 직접 안내문을 띄웠습니다.
“APEC 기간 항공보안 등급 상향으로 신발 검색 등 보안검색 강화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예정이오니, 평소보다 일찍 공항에 도착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간: 10월 24일~11월 1일)”
배너에는 “굽 3.5cm 이상 신발 검색이 시행됩니다”라는 문구도 포함돼 있습니다.
이는 한국공항공사가 전국 공항에 공통 적용한 보안조치로, 실제 현장에서도 대부분 신발이 검색 대상에 포함되는 ‘경계 수준’ 절차가 단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 안전은 강화됐지만, 시민 피로도는 더 커졌다
보안 강화 첫날부터 SNS에는 “검색대 앞에서 40분 넘게 대기했다”, “단체 수속이 겹쳐 혼란스럽다”는 불만이 속출했습니다.
특히 수학여행단이 몰린 제주공항은 일반 승객의 체류 시간이 급증했습니다.
공항공사는 항공사와 협조해 ‘임박 승객 전용 수속대’를 운영하고 대기 행렬을 분산하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즉각적인 완화 효과는 크지 않았습니다.
이용객들 사이에서는 “보안도 중요하지만 효율이 사라졌다”는 반응이 쏟아졌습니다.
■ ‘보안의 성공’인가, ‘운영의 실패’인가
APEC 기간 전국 공항은 보안요원 추가 투입, 불시점검, 경비 강화 등 고강도 조치를 이어갑니다.
정상회의에는 21개 회원국과 초청국 대표단 등 2만여 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다만 국가행사의 안전 확보라는 명분 아래 추진된 조치는 필연적인 선택이지만, 공항 운영 효율성과 시민 편의가 동시 요구되는 상황에 ‘안전’과 ‘운영’의 균형은 여전히 숙제로 남았습니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보안 강화의 필요성은 누구나 공감하지만, 문제는 현장 대응 속도”라며, “강화된 절차가 실제 운항과 연결될 때,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지연과 혼란은 결국 이용객이 감당해야 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안검색 강화, 수속 지연·주차 포화… “효율 어디 갔나” 불만 이어져
오늘(24일) 보안검색 절차 강화로 혼잡한 제주국제공항 출발 대합실 모습 (사진, 박주혁 기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전국 공항의 항공보안등급이 상향되면서, 제주국제공항을 비롯한 주요 공항이 24일부터 심한 혼잡을 겪고 있습니다.
보안검색 강화로 수속 시간은 길어졌고, 주차장은 이미 만석 상태입니다.
■ 보안등급 ‘관심→주의’, APEC 기간 전국 공항 일제 강화
한국공항공사는 24일부터 11월 1일까지 전국 15개 공항(인천 포함)의 항공보안등급을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했습니다.
경주에서 열리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각국 정상과 대표단이 입출국하는 주요 공항의 경비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특히 김해·대구·울산·포항경주공항은 28일부터 닷새간 ‘경계’ 단계로 한 단계 더 격상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무작위 신체검색 비율이 최대 20%로 높아지고, 경비 순찰 주기도 30분 단위로 단축됩니다.
공항공사 관계자는 “보안등급 상향으로 일부 불편이 불가피하다”며 “탑승객은 평소보다 충분히 일찍 공항에 도착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한국공항공사 실시간 화면 기준 24일 오후 2시 40분, 제주공항 국내선 탑승수속 평균 소요시간은 86분으로 나타났다(위). P1·P2 주차장은 모두 ‘혼잡(0대 가능)’ 상태였다.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 제공)
■ 제주공항, 첫날부터 포화… “탑승 수속 80분 넘기도, 주차는 0대 가능”
이미 제주공항 운영엔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공항공사 실시간 데이터에 따르면 24일 오후 2시 40분 기준, 제주공항 국내선 평균 탑승수속 소요시간은 86분으로 사실상 1시간 반에 달했습니다.
이는 셀프 체크인부터 게이트 진입까지 걸리는 평균 체류시간으로, 평소(50분 안팎)보다 35분 이상 길어진 수준입니다.
같은 시각 공항 주차장 상황도 ‘혼잡’으로 표시됐습니다.
P1·P2 주차장은 모두 ‘0대 가능’ 상태로 전광판에는 붉은색 경고등이 켜졌고, 장기주차장 진입 차량이 활주로 방향으로 길게 늘어섰습니다.
공항 접근로부터 하차구역까지 정체가 이어지며, 일부 승객은 캐리어를 끌고 수백 미터를 이동해야 했습니다.
오늘(24일) 보안검색 절차 강화로 혼잡한 제주국제공항 출발 대합실 모습 (사진, 박주혁 기자)
■ 공식 안내도 “신발 검색 시행”… 보안 절차 강화 현실화
제주공항은 홈페이지 메인 배너를 통해 직접 안내문을 띄웠습니다.
“APEC 기간 항공보안 등급 상향으로 신발 검색 등 보안검색 강화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예정이오니, 평소보다 일찍 공항에 도착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간: 10월 24일~11월 1일)”
배너에는 “굽 3.5cm 이상 신발 검색이 시행됩니다”라는 문구도 포함돼 있습니다.
이는 한국공항공사가 전국 공항에 공통 적용한 보안조치로, 실제 현장에서도 대부분 신발이 검색 대상에 포함되는 ‘경계 수준’ 절차가 단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오늘(24일) 보안검색 절차 강화로 혼잡한 제주국제공항 출발 대합실 모습 (사진, 박주혁 기자)
■ 안전은 강화됐지만, 시민 피로도는 더 커졌다
보안 강화 첫날부터 SNS에는 “검색대 앞에서 40분 넘게 대기했다”, “단체 수속이 겹쳐 혼란스럽다”는 불만이 속출했습니다.
특히 수학여행단이 몰린 제주공항은 일반 승객의 체류 시간이 급증했습니다.
공항공사는 항공사와 협조해 ‘임박 승객 전용 수속대’를 운영하고 대기 행렬을 분산하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즉각적인 완화 효과는 크지 않았습니다.
이용객들 사이에서는 “보안도 중요하지만 효율이 사라졌다”는 반응이 쏟아졌습니다.
오늘(24일) 보안검색 절차 강화로 혼잡한 제주국제공항 출발 대합실 모습 (사진, 박주혁 기자)
■ ‘보안의 성공’인가, ‘운영의 실패’인가
APEC 기간 전국 공항은 보안요원 추가 투입, 불시점검, 경비 강화 등 고강도 조치를 이어갑니다.
정상회의에는 21개 회원국과 초청국 대표단 등 2만여 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다만 국가행사의 안전 확보라는 명분 아래 추진된 조치는 필연적인 선택이지만, 공항 운영 효율성과 시민 편의가 동시 요구되는 상황에 ‘안전’과 ‘운영’의 균형은 여전히 숙제로 남았습니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보안 강화의 필요성은 누구나 공감하지만, 문제는 현장 대응 속도”라며, “강화된 절차가 실제 운항과 연결될 때,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지연과 혼란은 결국 이용객이 감당해야 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