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의 통로이자 저수지 역할을 하는 물을 보유하고 있는 지층을 대수층이라고 합니다.
JIBS는 지하수 수질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수층마다 개별 수질 측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처음으로 대수층마다 개별 수질 측정 결과가 나왔는데, 결과가 충격적이었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땅 속 150미터 이상 대수층으로 구멍을 뚫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축산폐수나 오염물질이 어느 대수층을 오염시키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섭니다.
김진성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 지하수질부 과장(수정완료)
"축산폐수가 지금 어디까지 갔는지, 쉽게 말해서 1대수층에 갔는지 2대수층까지 내려갔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대수층별로 구분해서 시행하고 있고..."
김동은 기자
"이처럼 지하 대수층별로 조사가 이뤄지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동안 도내 지하수 수질 검사는 지하 모든 대수층에 구멍을 내 혼합된 지하수를 측정해 왔습니다.
상대적으로 깨끗한 2, 3 대수층의 물까지 뒤섞여 정확한 수질 측정이 되지 않았습니다.
도내 수질 관측정 1백여곳에서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축산폐수로 지하수 수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한림읍 상명리 인근 관정 1곳에서 대수층별 수질을 측정한 결과가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지상에서 가장 가까운 1대수층의 경우, 질산성 질소 농도가 리터랑 10밀리그램으로 겨우 먹는 물 기준 경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축산폐수가 유입되면 나타나는 아질산성질소도 이 1대수층에서 확인됐습니다.
반면 2대수층은 질산성질소가 2.4밀리그램 밖에 나오지 않아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기존의 방식대로 대수층 전체에 대한 수질 조사를 한다면 이 지역의 질산성 질소 수치는 리터당 7밀리그램으로 떨어집니다.
강봉래 제주연구원 박사
"1대수층은 일부 오염됐다는 걸 나타내는 것이고, 축산폐수가 땅 속으로 들어가면 바로 암모니아와 아질산성질소로 변하기 때문에 지하수 관정에서 이런 성분이 나온 것은 상당히 위험한 증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축산 폐수가 1대수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게 확인된 만큼, 대수층별 수질 조사 확대가 시급합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JIBS 김동은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JIBS는 지하수 수질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수층마다 개별 수질 측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처음으로 대수층마다 개별 수질 측정 결과가 나왔는데, 결과가 충격적이었습니다.
김동은 기잡니다.
땅 속 150미터 이상 대수층으로 구멍을 뚫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축산폐수나 오염물질이 어느 대수층을 오염시키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섭니다.
김진성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 지하수질부 과장(수정완료)
"축산폐수가 지금 어디까지 갔는지, 쉽게 말해서 1대수층에 갔는지 2대수층까지 내려갔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대수층별로 구분해서 시행하고 있고..."
김동은 기자
"이처럼 지하 대수층별로 조사가 이뤄지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동안 도내 지하수 수질 검사는 지하 모든 대수층에 구멍을 내 혼합된 지하수를 측정해 왔습니다.
상대적으로 깨끗한 2, 3 대수층의 물까지 뒤섞여 정확한 수질 측정이 되지 않았습니다.
도내 수질 관측정 1백여곳에서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축산폐수로 지하수 수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한림읍 상명리 인근 관정 1곳에서 대수층별 수질을 측정한 결과가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지상에서 가장 가까운 1대수층의 경우, 질산성 질소 농도가 리터랑 10밀리그램으로 겨우 먹는 물 기준 경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축산폐수가 유입되면 나타나는 아질산성질소도 이 1대수층에서 확인됐습니다.
반면 2대수층은 질산성질소가 2.4밀리그램 밖에 나오지 않아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기존의 방식대로 대수층 전체에 대한 수질 조사를 한다면 이 지역의 질산성 질소 수치는 리터당 7밀리그램으로 떨어집니다.
강봉래 제주연구원 박사
"1대수층은 일부 오염됐다는 걸 나타내는 것이고, 축산폐수가 땅 속으로 들어가면 바로 암모니아와 아질산성질소로 변하기 때문에 지하수 관정에서 이런 성분이 나온 것은 상당히 위험한 증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축산 폐수가 1대수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게 확인된 만큼, 대수층별 수질 조사 확대가 시급합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JIBS 김동은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